매일신문

[사설] 비정상적인 대구 시내버스, 놀림감 된 이유 알고 있나

늦은 밤 시간대 불합리한 대구 시내버스 운행 방식에 대해 시민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오후 11시 30분이면 운행을 종료해 대중교통에 의존해야 하는 서민의 부담이 큰데다 종료 시점을 이유로 승객을 중도에 내리게 하는 황당한 일까지 벌어지고 있어서다. 혈세로 막대한 재정 지원을 받고도 시민 편의라곤 조금도 생각하지 않는 이 같은 운행 방식에 버스 준공영제 취지가 무색할 정도다.

통상 시내버스는 시간에 관계없이 시점에서 종점까지 운행하는 게 상식이다. 그런데 대구에서 막차 시내버스를 타는 시민은 목적지에 가지도 못하고 쫓기듯 버스에서 내려야 한다. 기사 근무 종료시간에 맞춰 중도에 차고지로 돌아가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어이없는 일이 벌어지는 까닭은 1990년대 한 노선을 여러 버스회사가 함께 운영하는 공동배차제 당시의 '중간 기점 방식'이 관행으로 굳어져 계속 이어진 때문이다. 막차 운행 시간이 단축되면 업체 운영은 수월하겠지만 정작 시민 불편은 거꾸로 가중되는 이상한 구조가 된 것이다.

타 도시와 비교해봐도 대구 시내버스는 시민 편의가 아니라 버스업계의 입맛에 맞춘 방식임을 알 수 있다. 시-종점 방식인 창원 시내버스의 경우 막차가 종점에 도착하는 0시 30분까지 하루 최대 19.5시간 운행한다. 반면 대구는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18시간에 그친다. 이 때문에 대구 시내버스를 두고 타 지역민들이 이상하게 여기는 것도 모자라 놀림감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대구시는 심야시간 이용 시민이 많지 않고, 막차 시간을 연장하면 노선당 2억원의 예산이 더 들어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버스 노사 단체협약 개정도 이유로 들고 있다. 그렇다면 공익성을 강조한 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유가 무엇인지 되묻고 싶다. 시는 2006년 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9년 동안 모두 7천억원을 업계에 지원했다. 지금도 전체 1천521대의 시내버스 운영에 연간 1천30억원이 들어간다. 막대한 예산 지원에도 시민 불편은 그대로라면 분명 문제가 있다. 제주시의 사례처럼 공영버스 심야 운행 등 보다 합리적인 방식을 검토하고 개선책을 내놓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