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지."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지류의 수질이 보 설치 후 나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몇 해 사이 측정 수치가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상당수 지류에서 악화된 수질이 확인됐다.
환경부가 설정한 '중역권 대표 및 주요지점'에 해당하는 대구경북의 지류는 영강과 병성천 등 모두 7곳이다. 낙동강과 만나는 이들 지류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분석한 결과, 보 건설(2012년) 이후인 2014'2015년의 연평균 수치가 역대 최악을 기록한 곳이 7곳 중 5곳이나 됐다. 이들 5곳의 2014'2015년 COD 수치는 4.3~6.6㎎/ℓ로, 가장 낮았던 2007년(2.4~3.5㎎/ℓ)보다 46.7~88.6%나 높은 수준이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의 경우도 7곳 중 6곳의 2013~2015년 연평균 수치가 보 건설 이전보다 높았다. 2007년 이후 229~461회의 측정 중 보 건설 후 BOD 수치가 역대 순위 1, 2위를 차지한 곳이 7곳 중 6곳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외에도 대구와 인접한 또 다른 지류인 백천과 차천의 수질 저하도 심각했다. 2004년부터 측정을 시작한 백천 지점은 보 설치 후 눈에 띄게 수질이 나빠졌다. 특히 지난해 COD 수치가 7.2㎎/ℓ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가장 낮았던 2007년(3.5㎎/ℓ)보다 두 배나 나빴다.
차천도 2012년 측정 시작 후 점점 수질이 나빠졌고, 지난해 연평균 COD 수치가 12.4㎎/ℓ로 낙동강의 다른 지류보다 최고 4배가량 높았다. 올해 1월엔 하천수질 5등급(11㎎/ℓ 이하)보다도 상당히 나쁜 22.5㎎/ℓ를 나타내기도 했다.
낙동강 지류의 수질 문제는 보 설치 후 악화된 현상뿐만 아니라 수질 자체가 낮다는 점도 있다. 최근 3년간(2013년 7월~2016년 6월) 월평균 수치가 하천수질 2등급 기준(5㎎/ℓ 이하)을 밑도는 비중이 높았다. 금호강과 차천은 100%(36개월)가 2등급에 못 미쳤고, 그다음으로 한천 97%(35개월), 위천 75%(27개월), 백천 58%(21개월), 병성천 44%(16개월) 등 순이었다.
환경단체는 보 설치로 본류 수위가 높아져 낙동강과 인접한 지류 지점의 유속이 정체된 영향이 있는데다, 지류에도 작은 보들이 설치돼 물의 흐름이 느려진 측면도 있다고 봤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측정일의 기후조건 탓에 특정 시점의 수치가 급격하게 오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전반적인 추세라고 단정하기는 힘들다"며 "지류의 경우 도로 위에 쌓인 매연물질이나 비료, 축산 폐기물 등 각종 오염원이 강으로 유입돼 영향을 줬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