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집에 가면
어미는 칼부터 든다
칼이 첫인사다
칼은 첫 문장이다
도마에 떨어지는 칼 소리
저 음절들을 맞추어 읽는다
부부의 물을 베던 칼
부엌에서 할짝할짝 울던 칼
-중략-
어미는 날 앉히고
칼춤을 춘다
문득 칼 냄새가 떠오른다. 시골집 부엌의 비린 부엌칼 냄새 같은 거, 우리 고향집엔 부엌칼이 몇 자루나 있었나? 하는 생각 같은 거, 밤마다 천장을 굴러다니던 쥐들이 싫어 가출한 누이가 들고나간 그 부엌칼 한 자루, 아버지에게 머리채를 잡힌 채 끌려와 마당에서 누이의 머리칼을 자르던 부엌칼 냄새, 칼은 옆으로 누워 자지 못한다. 칼처럼 누워 자고 일어나는 사람들의 귓속 냄새 같은 게 있다. 뜬 눈으로 날을 센 칼은 누가 집어올려도 날을 버렸다. 사는 게 시퍼렇게 질려서 어머니가 입술을 깨물며 나무 도마를 부엌칼로 찍어 대던 밤, 집안의 소 한 마리 훔쳐서 동네를 떠난 청년은 칼갈이가 되어 서울살이를 한다 했다. 칼은 들고나가 볕에 비추면 눈물이 환했고, 물에 비치면 짐승처럼 냄새가 올라왔다. 그 칼을 울게 하던 사람은 세상을 어디까지 깊이 찌르고 달아날 수 있었을까? 어느 집 칼이라도 돌아와 주기만 한다면, 어머니는 칼을 잡고 어린 닭 모가지라도 쳐서 먹이고 싶었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