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2일 전격적으로 국정감사 복귀를 선언함에 따라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24일) 이후 일주일을 끌어오던 국회 파행이 마무리됐다. 여야는 4일부터 국정감사 현장에서 진검승부를 벌인다.
하지만,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우선 새누리당에선 지도부 책임론 공방이 불가피해 보인다. 국정감사 거부를 선언하면서 복귀를 위한 선결조건으로 제시했던 정세균 국회의장의 사퇴와 야당의 사과 등이 전무한 상황에서 '빈손'으로 국회에 복귀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국정감사 복귀를 결정한 후 기자회견을 통해 "국회의장의 편파적 국회 운영 문제를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소득이 있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당내 불만은 부글부글 끓고 있다. 당장은 이정현 대표의 건강문제 때문에 이견 표출을 자제하는 분위기지만 상황정리가 되면 반드시 전략 부재를 드러낸 지도부의 책임을 묻겠다고 벼르는 의원이 한둘이 아니다.
수도권의 한 비박계 의원은 "'명분 없는 회군'으로 실익을 챙긴 사람은 정치적 주군인 대통령에 대한 충성심을 증명한 이정현 대표뿐"이라며 "새누리당의 국정감사 거부 투쟁은 원내 제1당의 결기도, 집권당으로서 국정을 책임지는 모습도 보이지 못한 헛발질 수준의 퍼포먼스였다"고 비판했다.
심지어 친박계 내부에서도 손발이 제대로 맞지 않았다며 소통문제를 지적했다. 영남의 한 친박계 의원은 "대표의 국정감사 복귀 권고를 의원총회에서 3시간 만에 뒤집고 그렇게 결정된 당론이 불과 며칠 뒤 다시 번복되는 당 운영으로는 국민에게 신뢰를 줄 수 없다"며 "당 대표의 권고까지 거스르며 강경투쟁을 주도했던 친박계 중진들이 머쓱하게 됐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당과 제대로 소통하지 않은 이정현 대표와 부실한 원내전략으로 혼선을 자초한 정진석 원내대표를 향한 당내 비판이 쏟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정국주도권을 거머쥔 야당은 대여공세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감 복귀를 두고 본격적인 '주고받기'(협상)에 돌입하기도 전에 여당이 제풀에 주저앉는 무기력한 모습을 연출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국정감사 파행으로 일주일간의 공백이 있었지만 대여공세를 강화할 전망이다. 더민주 관계자는 "남은 국정감사를 통해 대통령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한편 국정감사를 통해서도 밝혀지지 않는 의혹은 국정조사와 특별검사 임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도 여야 대치 국면에서 중재 역할이 성과를 내면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정치권에선 새누리당이 원내 제1당에 걸맞지 않은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 당분간 정국 주도권을 야권에 내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