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주관하는 축제가 다른 시'도보다 가짓수는 상대적으로 많지만 당초 취지나 실제 행사 내용에 비해 성과와 효과는 지나치게 부풀려져 있다는 비판이다. 대구시가 연간 주관하는 축제는 46개로 다른 시'도보다 20~30% 많은데 반해 관람'참가자 수는 물론 경제유발효과 등이 과대 포장된 것으로 분석됐다. 실속이 없는 속 빈 강정 같은 축제를 치르고도 결과 보고서는 풍성하고 푸짐하게 뻥튀기했다는 이야기다.
이런 결과는 대구시의 축제에 대한 그릇된 행정이 빚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대구시는 축제를 여는데 치중하고 결과를 부풀리는데 익숙하다. 격년제로 열리는 대구건축문화비엔날레는 1억9천만원을 들여 40억원의 경제파급효과가 있다고 자랑했지만 근거자료는 없다. 2천 명이 넘는 고용창출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행사기간 중 아르바이트생 숫자를 덧셈한 데 불과하다. 다른 여러 축제 사정도 마찬가지다. 제대로 된 평가자료를 근거로 보고하기보다는 내용과 결과를 부풀리거나 포장하는데 관심이었다.
여기에는 축제 관련 예산 심사에서의 허술한 절차도 한몫하고 있다. 올해 대구시 축제 관련 예산은 200억원으로 지난해 130억원보다 크게 늘었다. 그런데도 대구시 예산을 보조받는 축제와 행사를 심사하는 위원은 15명에 불과하다. 이들이 심사하는 각종 축제와 행사는 무려 1천 건이 넘는다. 기본적으로 심사를 심층적으로 제대로 할 수 없는 구조다. 그런 만큼 축제와 행사 결과를 실제보다 과대 포장하거나 뻥튀기하는 일이 다반사다. 예산 지원을 받기 위한 눈속임과 다름없는 셈이다.
이제 축제 예산 심사 행정을 고쳐야 한다.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축제와 행사를 걸러낼 심사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지금 같은 부풀리기 보고 관행을 막고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예산 절감은 덤이다. 경남도가 재정점검단을 운영해 70여 개 축제를 44개로 줄여 624억원을 아낀 일은 좋은 사례다. 인천의 축제가 31개인 점도 눈여겨 볼 만하다. 알맹이 없는 축제조차 내용을 부풀리는 대구에 시사하는 점이 있다. 숫자는 숫자일 따름이다. 이제부터라도 실속을 차릴 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