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재난 전문가 100여명 '경북 안전'지킨다

'안전경북 365/100人 포험' 창립…이효수 전 영남대 총장 대표에

경상북도는 11일 안동 그랜드호텔에서'안전경북 365/100人포럼'을 창립했다. 이 포럼엔 지진, 풍수해, 원전, 사회재난, 안전정책 등 5개 분과에 걸쳐 100여 명의 민'관 전문가 그룹이 참여해 경북의 안전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이날 포럼 대표로 취임한 이효수 전 영남대 총장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지만 사회안전망 구축에는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라는 불명예를 수년간 유지하고 있다"며 "자연재난은 불가항력이지만 대부분 재난은 사람과 시스템에 의한 인재이기 때문에 법과 제도의 정비와 함께 우리가 더 노력한다면 충분히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조강연에 나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올해 4월 일본 구마모토 지진과 지난달 12일 경주 지진과의 연관성을 설명했다. 지 센터장은 "한반도의 지진 특성이 고주파가 상대적으로 발달된 형태로 저층 구조물에 피해가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내진설계 강화와 내진 성능 보강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며"지진 발생시 신속한 상황 전파를 위한 조기경보 시스템 개선, 지진관측망 확충, 지진대피소 정비, 행동매뉴얼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창립총회에선 또 분과별 위원회를 통해 향후 운영 방향과 경북의 안전 인프라를 되짚어 보고, 안전정책 과제 발굴에 대한 지속적 논의를 협의했다.

경북도는 이번 포럼에서 발굴하는 정책과제는 도정에 적극 반영하고, 조직과 인력, 재난대응 매뉴얼과 안전기반 시설들을 획기적으로 확충, 개선해 안전한 경북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도정 발전의 기초는 안전이다. 기초가 흔들리면 모든 것이 한순간에 무너지는 모래성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이번 지진의 뼈아픈 교훈을 통해 얻었다"며 "안전정책을 원점에서 되돌아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에서 경북안전이 나가야 할 방향과 도민 중심의 다양한 정책과제 발굴에 지혜와 역량을 모아달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