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매서운 가운데 전셋값으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한 단지에 눈길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KB국민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전국의 전세가율은 75.4%로 2013년 4월 이후 63개월간 한번의 하락 없이 상승 또는 보합세를 유지 하고 있다. 전세가율 상승세도 가파르다. 2011년 10월 60%를 돌파한 전국 평균 전세가율은 65%를 넘기까지 23개월이 걸렸다. 반면 2014년 12월 사상 처음으로 70%를 넘어선 전세가율은 17개월 만인 2016년 5월 75.2%를 기록하며 75%를 돌파했다.
한 때는 '서울 엑소더스'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서울의 높은 전셋값을 피해 경기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많았지만 이제는 경기지역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대표적인 예로 83%의 전세가율을 보이고 있는 고양시 덕양구에서 지난해 6월 분양한 '고양 삼송 화성파크드림' 전용 59㎡의 분양가는 2억9800만원이다. 반면 인근의 행신동에 위치한 '행신3차 SKView' 전용 59㎡의 전세가는 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지역 내 신규분양단지의 분양가보다 기존 아파트의 전세가가 더 높은 것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매매가의 오름폭보다 전세가 오름폭이 더 높아 둘 사이의 격차는 점점 더 줄어들 것으로 본다"며 "이에 기존 아파트의 매매가보다는 저렴한 신규분양으로 전세난민들의 이동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렇듯 수도권 전세난이 극심한 가운데 고양시에 들어서는 "고양 목암지구 신안실크밸리" 공급 소식이 눈길을 끈다.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사업안정성까지 두 마리 토끼 잡는 것 가능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376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고양 목암지구 신안실크밸리'는 대단지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다. 지하 2~지상 최고 16층, 39개 동, 전용면적 64~84㎡로 총 1885가구 규모로 구성됐다. 단지는 100%토지매입이 완료됐을 뿐 아니라 조합원의 추가 분담금이 없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아파트에 입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일반 분양주택이나 재개발·재건축 조합에 비해 절차가 간소해 기호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주택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양 목암지구 신안실크밸리'의 경우 택지개발지구 내 지역주택조합을 모집하고 신안건설산업에서 토지매입까지 마친 경우이기 때문에 최초 계획보다 토지비가 상승할 가능성이 없어 사업 안정성 또한 갖췄다.
■1885가구의 신도시급 대단지에서 누리는 풍부한 생활인프라
고양시에서 찾아볼 수 없던 1885가구의 신도시급 대단지로 풍부한 생활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단지 인근에 신세계 복합쇼핑몰 및 이케아 2호점이 예정돼 있으며 단지 내 대형마트도 계획 돼 있다. 교육여건도 좋다. 목암초, 목암중이 도보권에 위치해 자녀들의 안전한 통학이 가능하며 고양초, 고양일고를 가깝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단지 바로 앞으로 초등학교 및 유치원 예정부지가 있어 향후 교육여건이 더욱 더 개선될 예정이다.
신안건설산업의 고양 목암지구 신안실크밸리는 1차 모집 마감에 따른 2차 조합원을 모집 중이다. 1차의 '대성공'에 따른 2차 조기 마감도 예상되고 있다.
단지는 지역조합아파트로 시행사 이윤, 토지금융비 등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청약통장이 없이도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 같은 장점으로 이번 8월 26일 분양홍보관 오픈과 동시에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첫 날 내방객 5천 여명에 오픈 2일차에 1차 모집마감을 마쳤다. 고양목암지구 신안 실크밸리는 1차 모집에 이어 현재 2차 모집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