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을 다녀온 석유화학업체 퇴직자 부부들이 탄 관광버스에 불이 나 10명이 숨지고 7명이 중경상을 입은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참사도 운전 부주의와 도로안전 관리 부실 등 총체적 안전불감증이 빚어낸 인재로 드러났다.
13일 오후 10시 11분쯤 울산 울주군 언양읍 경부고속도로 언양분기점에서 경주IC 방향 1㎞ 지점을 달리던 관광버스에서 불이 나 전소됐다.
이 불로 운전기사와 승객 등 탑승자 20명 가운데 10명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는 바람에 숨졌다. 나머지 10명은 창문을 깨고 가까스로 탈출했다. 이 가운데 7명은 중경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사고 버스 승객들은 모두 중국으로 여행을 갔다가 돌아온 한화케미칼 퇴직자 부부로, 희생자 연령대는 50대 중반부터 70대 초반이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버스 조수석 쪽 타이어가 갑자기 파열되면서 차체가 오른쪽으로 쏠리는 바람에 콘크리트 분리대를 들이받으며 200여m를 질주한 탓에 마찰열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이번 사고 역시 '고질적인 안전불감증이 낳은 참사'로 밝혀지고 있다. 화재 발생 시 유일한 탈출 도구라고 할 수 있는 비상용 망치를 쓸 수 없었고, 비상구도 따로 없었다. 소화기 1대로 창문을 깨고 일부 승객은 탈출했지만, 이 역시 안전핀이 뽑히지 않아 화재에는 무용지물이었다.
운전 부주의도 이번 사고의 결정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경찰은 업무상 과실치사 등의 혐의로 버스기사 이모(48) 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 씨가 무리한 차로 변경 등 안전운전을 소홀히 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0년부터 6년간 전세버스 교통사고는 매년 1천100~1천200건에 달한다. 2013년 이후는 해마다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연간 사망자만 40명으로 도로 사고 10건 가운데 8건이 운전 부주의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고는 1990년 이후 발생한 전세'고속버스 사고 중 6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냈다.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낸 사고는 2001년 7월 24일 진주 고속버스 추락사고로, 승객 등 18명이 숨지고, 22명이 중경상을 당했다.
이처럼 대형 버스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안전 기준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버스 내 별도 비상구 설치를 의무화하고, 비상탈출용 야광 망치를 비치해 누구나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형 전세버스 이용이 급증하는 단풍 행락철을 맞아 안전사고에 대비한 비상 장비 구축과 안전운행 시스템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