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및 대구경북의 수출 무게중심이 중국'일본에서 미국'베트남으로 옮겨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서도 대베트남 수출 비중이 커지면서 베트남 시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제무역연구원이 14일 내놓은 '우리나라 수출 톱3 국가의 수출 비중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2010년 498억달러에서 2015년 698억달러로 늘었다. 올해 1∼8월 중에는 445억달러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10.7%에서 2016년 13.8%로 3.1%포인트(p) 늘었다. 베트남은 2010년 97억달러에서 2015년 278억달러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 1∼8월 수출액은 208억달러였다. 베트남에 대한 수출 비중 역시 2010년 2.1%에서 2016년 6.4%로 3배 늘었다.
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5.1%(1천168억달러)에서 2015년 26.0%(1천371억달러)로 변화하는 동안 소폭의 등락을 반복하다가 올해 들어서는 24.4%(787억원)로 줄었다. 중국의 성장 정책이 내수 중심으로 변화한 데 따른 경기 부진과 중국의 수출 감소가 중국으로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중국의 성장률이 둔화하고 무역 구조가 변화한 영향으로 과거와 같은 호조세를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미국 시장과 같이 중국도 소비재 수입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브랜드를 가미한 고급 소비재의 수출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으로의 수출이 늘어난 이유는 미국이 경기를 회복하면서 수입 수요가 늘었고, 내수경기가 활성화하면서 소비재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또 베트남 수출은 해외 직접투자가 증가하면서 생산이 수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네트워크를 토대로 수출 비중이 상승세를 지속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경북에서도 미국, 베트남 수출이 늘고 중국, 일본 수출은 줄어들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대구경북의 주요 수출국 1~3순위는 중국, 미국, 일본 순이었다. 미국 수출액은 2010년 84억달러에서 2015년 87억달러로 늘었다. 같은 기간 미국에 대한 수출 비중은 16.9%에서 17.2%로 증가했다. 반면 중국(22.9%→29.8%)과 일본(7.8%→6.9%)에 대한 수출 비중은 모두 줄었다.
또한 대구의 대베트남 수출이 2010년 1억2천800만달러에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해 4억7천900만달러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2010년 대구의 주요 수출국 8위(2.5%)였던 베트남은 지난해 주요 수출국 3위(5.3%)까지 올랐다. 올해는 1~8월까지 수출액 2억4천100만달러, 수출 비중 5.3%로 주요 수출국 4위를 기록했다.
경북에서도 베트남이 2010년 주요 수출국 7위에서 지난해와 올해 각각 5, 4위로 올랐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관계자는 "지역 섬유와 전자 업계의 생산'수출 거점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겨가는 추세다. 아울러 구미에 있던 대기업 및 협력업체가 이전한 영향으로 베트남에 대한 자재 수출 등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