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대 '총장 임명안 통과'…학사 운영 정상화 vs 2순위 임용 소문 우려

총장 임명안이 국무회의에 통과됐다는 소식에 경북대 측은 '급한 불을 껐다'는 반응을 보였다.

'2년간 총장 부재'가 이어지면서 삐꺽거리던 대학 운영이 정상화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드러냈다. 경북대는 2014년 9월 이후 총장 공석이 장기화되면서 2025년 세계 대학 순위 100위 달성을 목표로 한 중장기 발전전략을 제대로 수립할 수 없었다. 또한 첨복단지 특성화 및 캠퍼스 확충 등 대학 특성화를 위해 수행해 온 사업조차 정상적인 진행이 어려웠다. 더욱이 '총장 직무대리' 체제의 장기화로 인해 각종 총장협의회에서 발언권도 줄어들었고 경북대의 대외 이미지와 역할에 크고 작은 손해를 입어왔다. 경북대 졸업생들 또한 '총장 직무대리' 명의의 졸업장을 받는 상처를 입기도 했다.

권선국 경북대 교무처장은 "장기화됐던 총장 공석 문제가 최종적으로 해결되면서 아무래도 위축됐던 총장의 대외활동이나 장기적인 계획 등을 의욕적으로 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학 안팎에서는 '2순위 임명'이 유력한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강하다.

2순위 임용이 사실로 드러나면 상당한 갈등도 예상된다. 경북대의 한 교수는 "임명안이 국무회의에 통과되면 총장 임명이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는데 이를 밝히지 않는다는 것은 2순위자를 임명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이렇게 되면 정부 스스로 원칙을 무시한 것이고 이런 결과를 내고자 굳이 2년여를 허비한 것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1순위인 김사열 교수는 "일단 2년여 계속돼 온 총장 공석 사태를 해결한 것은 다행이지만 2순위 후보를 총장에 임명한 것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이는 대학 자율성을 완전히 훼손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개인적으로 대응해왔지만 다른 교수들과 함께 법적 대응도 고려하겠다"고 했다. 이에 앞선 17일 경북대 교수 25명은 성명서를 내고 "교육부와 현 정부는 대학구성원들과 지역사회의 총의에 부합하는 후보자를 경북대 총장으로 임명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