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적 증상엔 약물치료 효과
우울함 심하면 항불안제 복용
직장인 이모(27) 씨는 매달 한 차례씩 참기 힘든 우울감에 시달린다. 월경을 시작하기 2, 3일 전부터 기분이 가라앉고 하루 종일 주체할 수 없이 졸음이 쏟아진다. 이 씨는 "버스를 타고 가다가 잠들거나 친구들과 수다를 떨다가 조는 적도 있었다"면서 "울적한 기분은 월경이 시작되면 나아지지만, 하루에 진통제를 서너 개씩 먹을 정도로 심한 월경통에 시달린다"고 푸념했다.
월경을 할 시기가 되면 불편감을 호소하는 여성들이 적지 않다. 월경 시기가 다가올 때마다 기분과 행동이 변화하고, 때로는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가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증상이 월경통과 월경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PMS)이다.
◆월경 직전 주기적으로 증상 나타나
월경 전 증후군은 상당수 여성이 겪는 경험이다. 대부분 참고 지낼 정도지만 가임기 여성의 3~5%는 '월경 전 불쾌장애' 진단을 받을 정도로 심각한 어려움에 시달린다. 그러나 월경 전 증후군을 정확하게 진단받아 적절하게 치료하는 여성들은 많지 않다. 오히려 의사 처방 없이 임의로 약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월경 전 증후군이 일어나는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우울이나 불안 등 정서적 문제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변화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프로게스테론의 분비가 줄거나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늘거나 줄어드는 경우, 저혈당·갑상선기능이상, 세로토닌 이상 등이다. 특히 일부 여성들은 월경과 분만, 폐경 등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거나 기존의 정서 장애가 악화되기 쉽다.
월경 전 증후군은 월경 직전에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월경을 하고 나면 증상이 사라진다. 주로 복부 팽만과 불안, 긴장, 유방통, 우울, 피로, 의욕저하, 과민반응, 집중력 저하, 식욕 변화 등이 나타나며 일주일에서 열흘가량 지속된다.(표 참조) 월경 전 증후군은 시작된 지 나흘 이내에 사라지고 적어도 월경 주기 13일째까지는 다시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약물이나 호르몬 복용, 알코올 섭취 등과도 연관이 없어야 한다.
◆치료 방법 적절하면 첫 주기부터 효과
월경 전 증후군의 증상 감소에는 적절한 운동과 자기관리, 균형잡힌 건강식이 도움된다. 또 월경 전 증후군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가족, 친구의 사회적 지지도 필요하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분을 풀어주는 것도 중요하다.
대체요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칼슘과 마그네슘, 비타민 B6, 비타민 E, 오메가-3 지방산, 은행나무와 같은 보충제제와 마사지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비약물적 치료는 경증에서 중등도의 증상이 있는 월경 전 증후군에 적절하며 증상이 중등도 이상일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스피로노낙톤 등은 주로 월경 전 증후군의 신체적, 감정적 증상 치료에 도움이 된다. 불안이나 우울감이 심할 때는 알프라졸람 등 항불안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유사체도 쓰지만 일시적으로 폐경을 초래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에스트로겐 패치나 프로게스틴 추가, 경구피임약 등은 배란을 억제해 치료에 도움이 된다.
박내윤 대구파티마병원 산부인과 과장은 "치료 방법이 효과적이라면 대개 치료를 시도한 첫 주기부터 효과가 나타난다"면서 "따라서 호르몬 치료와 SSRI를 병행해도 충분히 호전되지 않는다면 월경 전 증후군이 확실한지 다시 진단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박내윤 대구파티마병원 산부인과 과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