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강구 복합항만 개발사업…어선부두 공사로

"낙후 지역 영덕 발전시켜야"

이명박정부 때 중앙정부가
이명박정부 때 중앙정부가 "강구항에 3천여억원을 투입, 대대적인 개발을 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사업계획이 크게 쪼그라들었다. 강구항 모습. 영덕군 제공

이명박정부 때인 지난 2012년 영덕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대형 국책사업으로 당시 국토해양부 장관까지 나서 장밋빛 청사진으로 제시했던 영덕 강구연안항 개발사업이 대폭 축소돼 추진되고 있다. 영덕에서는 낙후된 지역을 되살리기 위해 당초 약속대로 개발될 수 있도록 국회의원과 군수, 지역민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11년 당시 국토해양부는 강구항을 연안항으로 지정하고 2012년 11월에는 3천26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2020년까지 삼사해상공원 동편 해안에 여객부두'화물부두'어선부두 등 해양관광 기능을 포함한 복합항만을 조성하는 강구항 기본계획을 고시했다.

당시 주민들은 동서4축'남북7축 고속도로'동해중부선 철도 등의 개통과 동시에 강구항이 연안항으로 면모를 갖추게 되면 강구항이 여객수송'물류유통'어업전진기지 및 관광레저산업의 메카 역할을 담당하는 다목적 미항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했었다.

하지만 불과 2년 뒤인 지난 2014년 10월 국가항만기본계획에서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여객부두'화물부두'친수공간 등이 빠지고 477억원짜리의 사실상 어선부두 신설공사로 대폭 축소 변경됐다. 축소된 강구연안항 개발계획은 해양수산부가 설계를 마치고 공사는 경북도로 넘긴 상태.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문제는 이대로 공사가 진행되고 나면 국가적인 관심과 노력이 없는 한 2012년 고시된 계획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영덕발전의 기회인 항만기본계획을 지켜내지 못한 강석호 국회의원에 대한 책임론도 뒤늦게 제기되고 있다.

영덕백년대계연구소 장성욱 대표는 "영덕은 시군구 낙후도 조사에서 230개 중 200위, 재정자립도는 14.5%로 최하위권이다. 인구 감소세로 30여 년 뒤에는 영덕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쪼그라든 계획에 대한 문제제기가 전혀 없어 안타까웠다. 동해안 중에서도 가장 낙후된 영덕을 발전시키려면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라도 강구연안항을 당초 약속대로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영덕백년대계연구소는 지난 15일 강구항 개발과 원전문제 등 영덕현안에 대한 정책토론회를 삼사해상공원 리베라호텔에서 열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