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경주의 시와함께] 붉은 꽃

장옥관(1955~ )

거짓말할 때 코를 문지르는 사람이 있다 난생처음 키스를 하고 난 뒤 딸꾹질하는 여학생도 있다

비언어적 누설이다

겹겹 밀봉해도 새어나오는 김치 냄새처럼 숨기려야 숨길 수 없는 것, 몸이 흘리는 말이다

누이가 쑤셔 박은 농짝 뒤 어둠, 이사할 때 끌려나온 무명천에 핀 검붉은 꽃

몽정한 아들 팬티를 쪼그리고 앉아 손빨래하는 어머니의 차가운 손등

-중 략-

대지가 흘리는 비언어적 누설이다

문학평론가 사사키 아타루에 의하면 우리는 모두 혁명으로부터 왔으며 문학의 힘을 혁명에게서 찾는다. 그에게 혁명이란 피나 폭력의 냄새보다는 인류 속에서 조용히 이어져 오는 어떤 들끓음이다. 시를 쓰고 인간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인문학이라면 인문학은 자연의 추동이며 시는 특별한 순간에만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시를 쓰기 위해 글을 돌보는 일은 사물과 현상을 새롭게 보는 혁명의 순간들이다. 시는 악조건을 조건으로 만드는 것이다. 인간 안에는 무수한 인간계(人間界)가 있다. 인간의 틀 속에 자생된 인문학이 시다. 어떤 혁명에는 이 시처럼 언어가 구체적인 생활의 냄새와 살 냄새와 구더기들이 함께 끓고 있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