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공항 이전, 대구'경북 상생하는 길 돼야 성공한다

대구공항 통합이전 사업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지난 7월 박근혜 대통령이 통합이전을 지시한 이후 정부 TF회의, 예비 이전 후보지 조사 연구 용역에 이어 오는 27일 이전 후보지 대상 설명회가 열린다. 당초 예상보다 속도가 좀 느리지만, 순서에 따라 정상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그렇지만 최대 쟁점인 이전 후보지 선정을 두고 대구시와 경북도, 후보지 지자체 등의 입장이 달라 불안감이 여전하다.

국방부가 18일 대구 군공항 이전과 관련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했는데, 후보지 지자체로서는 상당히 눈여겨 볼만한 내용이었다. 공항 이전에 생산 유발액 7조2천899억원, 취업 유발 인원 5만1천784명의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건설 기간을 6년으로 봤을 때 연간 생산 유발액은 1조2천150억원, 연간 취업 유발 인원은 8천630명에 이른다.

이전 지역에는 군부대 주둔에 따른 인구 유입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등 파급효과가 크다는 것이 국방부의 설명이다. 이전 공항은 현재의 K2 기지보다 2배 정도의 부지를 매입해 소음 피해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건축물 고도 제한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날 국방부 발표는 이전 후보지 지자체들이 경제효과를 고려해 이전 후보지 신청을 많이 해달라는 주문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공항 이전의 가장 큰 걸림돌인 소음 및 재산권 행사 피해를 상당 부분 없애겠다는 점이다. 이전 후보지 신청을 고려 중인 지자체가 상당히 반길 만한 내용이다.

현재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자체는 대구 인근의 11개 시'군 20곳이다. 대구시는 시청과 50㎞ 이내에 떨어진 지역을 원하고 있고 경북도는 도청 신도시와 연계할 수 있고 인구 증대 효과가 있는 지역을 바라고 있다. 대구시가 원하는 지역의 지자체는 후보지 신청을 꺼리고 있어 민간공항 이전효과가 반감될 수도 있다.

미묘하고 복잡한 상황이지만, 이전 후보지 선정이 올 연말까지 이뤄져야 차질없이 이전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숱한 난관과 고비를 넘어야 하겠지만, 통합이전 사업은 지역의 대역사(大役事)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모두가 조금씩 양보하면서 힘을 모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