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릉도 사동항 2단계 접안시설 여객선 왜 뺐나

주민들 "당초 약속 어겨" 반발

정부가 최근 확정 고시한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6~2020)'에 울릉 사동항 2단계 접안시설의 여객선석이 제외돼 울릉 주민이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18일 '울릉항 여객 부두 정상화 협의회'를 발족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당초 정부가 구상한 울릉 사동항 2단계 항만은 '민'군'경 복합항'이었다. 영해 수호를 위한 거점 항만으로 개발하는 동시에, 대형 여객선 접안 시설을 만들어 주민들의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해양관광을 활성화한다는 취지였다.

2011년 해양수산부(당시 국토해양부)가 고시한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에 따르면 울릉 사동항 2단계 항만 접안 시설은 여객 부두 150m, 해경 부두 180m, 해군 부두 190m, 기타 부두 305m가 들어설 예정이었다.

이후 해수부는 울릉항 등 국내 연안항 11곳을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하고 2013년 12월 '국가관리연안항 항만기본계획(2014~2020)'을 고시했다. '민'군'경 복합항'이란 큰 틀은 바뀌지 않았지만, 당초 190m였던 해군 부두 시설이 400m로 크게 늘었다.

그러나 해수부는 지난달 29일 확정 고시한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을 통해 여객 부두 145m를 여객선은 접안할 수 없는 국가어업지도선 부두로 바꿨다. 여객선 접안 시설이 사라진 것이다. 나머지 접안 시설은 바뀌지 않았다. 울릉공항 건설과 연계해 여객 수요를 재검토한 결과 해상 항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여객 부두를 제외했다는 게 해수부 측의 설명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울릉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울릉 주민들은 사동항 2단계 공사가 마무리되면 파도에 영향을 덜 받는 대형 여객선이 취항해 기상 악화로 결항이 잦은 겨울철 교통난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해왔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군사적 목적을 감추기 위해 잠시 여객선석을 끼워 넣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의 목소리도 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주민들은 18일 '울릉항 여객 부두 정상화 협의회'를 꾸렸다. 이 단체는 "여객 부두를 제외한 해수부의 논리에 문제가 많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