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나간 자리, 빈터로 마냥 놀릴건가

환승센터로 이사 코앞인데… 대구시 뚜렷한 활용방안 없어, 민간업자 난개발·공동화 우려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주변 고속'시외버스터미널 이전터가 공동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올해 말 환승센터로 통합 이전한 뒤 빈터로 남겨질 터미널 부지에 대한 뚜렷한 개발 방향이 제시되지 않았고, 도시계획 수립도 이뤄지지 않은 때문이다.

대구시는 환승센터 완공 5개월 전인 지난 7월에야 '환승센터 주변지역 활성화 전략 수립 용역'을 마쳤다. 이 용역은 애초 지난해 4월 시작해 12월에 끝내야 했지만, 다른 상위 계획의 반영을 이유로 그동안 전략 수립이 지체된 것이다.

터미널 이전터의 도시계획을 짜기에는 시기적으로 너무 늦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한 도시계획 전문가는 "환승센터사업 시행자가 이미 2012년 8월에 지정됐고 착공도 2014년 2월에 이뤄졌다"며 "터미널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해 준비할 시간을 흘려보낸 탓에 준공을 앞두고서야 밑그림이 나왔다"고 지적했다.

용역 내용도 학술적인 제안에 머물렀다는 한계가 있다. 용역을 수행한 국토연구원은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8천㎡)을 '창조지식플랫폼'으로, 동부시외버스터미널(1만6천㎡)을 '문화복지플랫폼'으로 설정하는 데 그쳤다. 또 환승센터로 함께 이전할 남부시외버스터미널(1만㎡)은 아예 용역 대상에서 제외된 허점도 있다.

문제는 용역이 설정한 내용을 실무 차원에서 구체화하려면 앞으로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전터에 어떤 형태의 개발이 가능하고, 또 개발 형태마다 공공성을 확보할 방안을 검토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터미널 부지가 사유지인 탓에 공공에서 주도하기 어려워 민간이 적극적으로 개발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당분간 도시계획시설(터미널) 해제도 쉽지 않다.

공공 기여 방안을 두고도 논란을 빚으면 이전터 개발은 더 늦어질 수 있다. 개발 면적의 5~10%를 부지로 받거나 개발시설 중 일부를 기부받는 방법이 있지만, 구체적인 방식과 기부 규모를 두고 주장이 엇갈릴 수 있다. 여기에 고속버스터미널 부지의 경우 소유주가 3개 업체로 나뉜 점도 개발에 걸림돌이다. 3개 업체가 각자 개발할지 공동으로 개발해 지분을 나눌지 등 소유 주간의 협의 내용에 따라 대구시가 요구할 공공성 확보 방안이 달라지고, 논의도 더 길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신세계백화점과 환승센터 완공 이후 상당 기간 터미널 부지가 활용 방안을 확정짓지 못하고 공동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구시 관계자는 "터미널 이전터 소유주가 구체적인 개발 계획을 밝히지 않고 있다"며 "대형 상업시설 등 수익만 앞세우다 보면 각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