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로부터 8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모은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을 둘러싼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은 25일 오전 10시부터 전경련 이용우 사회본부장과 권모 팀장,K스포츠재단 노숭일 부장을 소환해 조사중이다.
전경련은 두 재단의 설립과 모금 과정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한 의혹을 받고, 지난주부터 실무자 등 관련자들이 차례로 소환 조사를 받고 있다.
이날 소환된 이 본부장은 K스포츠재단 이사로 파견돼 재단 관련 의혹이 불거진 이후 수습 작업을 벌이고 있는 인물로, 지난달 시민단체 투기자본감시센터가 재단 관련 고발장을 제출할 때 피고발인에도 포함됐다. 전경련은 지난 20일 미르·K스포츠 재단을 둘러싸고 논란이 이어지자 해산 절차를 밟고 통합재단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검찰은 이 본부장과 권 팀장을 상대로 대기업의 거액 출연금 모금과정과 경위 등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숭일 부장은 전날 검찰에 나와 조사를 받은 박모 과장과 함께 올해 1월 K스포츠재단에 들어가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씨의 최측근으로 각종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K스포츠재단에 들어간 뒤에도 최씨가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더블루케이 한국법인 사무실에 수시로 오가며 재단의 운영 상황을 '회장'으로 불린 최씨에게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노씨에게 K스포츠재단의 설립과 운영 과정에서 최씨의 역할 등을 추궁하고 있다.
검찰은 기존 형사8부 4명으로 운영되던 '미르·K스포츠 수사팀'에 24일 3차장 산하 특수수사 부서 검사 3명을 추가로 투입해 수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검찰 수사가 지지부진한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면서 증거를 인멸할 시간을 벌어주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돼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일 청와대 수석 비서관 회의에서 검찰 수사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지금까지 압수수색 한번 이뤄지지 않고 있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증거가 인멸되고 있는 정황이 여기저기서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미르 재단과 K스포츠 재단이 기업들의 자발적인 모금을 통해 만들어졌다고 강조하면서도 "어느 누구라도 재단과 관련해 자금 유용 등 불법 행위를 저질렀다면 엄정히 처벌받을 것"이라고 20일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 발언은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한 검찰의 수사가 '자금 유용'을 넘어서면 안 된다는 사실상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셈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