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최순실씨의 국정 농단 의혹을 집중 수사하기 위해 27일 특별수사본부를 꾸렸다. 특별수사본부는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을 본부장으로15명 안팎의 검사 등 수십명 규모가 될 전망이다.
대검찰청은 이날 "기존 서울중앙지검 형사8부(부장검사 한웅재)와 특수부 일부 검사들 외에 특수1부(부장검사 이원석) 전원을 추가로 투입해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당초 최씨를 둘러싼 의혹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한정된다고 판단해 관련 고발사건을 형사부에 배당했으나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재차 규모를 확대해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했다. 지난 24일 특수부 검사 3명을 충원해 부장검사 포함 7명으로 특별수사팀을 꾸린 뒤 다시 규모를 키운 것이다.
새롭게 출범한 특별수사본부가 기존 검찰이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수사에 미온적이었다는 비난을 불식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찰은 전날 최씨와 관련된 사무실과 거처 등 모두 9곳을 동시에 압수수색 했지만, 사건을 배당한 지 21일 만이어서 '늑장 압수수색' 비판이 일었다. 또 기자들이 최순실 인터뷰까지 하는 상황에서 검찰은 최씨의 거취조차 알지 못한다는 답변으로 일관해 국민들로부터 "수사에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하지만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언론의 보도가 봇물터지듯 밀려들고 국민적 실망감과 분노가 극에 달하자 이번 의혹에 관한 검찰의 수사 역량과 의지를 보여주고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해야 한다는 난국을 정면돌파하기 위해 특별수사본부라는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풀이된다. 김현웅 법무부 장관은 전날 국회에서 "최씨 모녀 국내송환을 위해 형사사법공조 절차를 밟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씨는 청와대 인사에 개입하고 내부 문서를 미리 받아봐 수정했다는 의혹, 입시 정보를 비롯한 기밀을 사전에 파악했다는 의혹 등을 받고 있다. 최씨는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부분의 의혹을 부인하면서 "죄가 있다면 받을 것은 달게 받겠다"고도 말했지만, 신경쇠약 등을 이유로 귀국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여야가 특검 도입에 합의하면서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특검법이 조만간 국회를 통과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특별수사본부는 국회에서 특별검사제 도입을 의결할 때까지 수사 기반을 다져놓는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특별수사본부의 초동수사 수준에 따라 특검의 성패 여부도 갈릴 전망이어서 그 역할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특별수사본부장은 고검장이나 검사장이 맡는데, 김수남 검찰총장은 수사의 연속성과 효율성, 대규모 수사의 역량 등을 두루 고려해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에게 중책을 맡기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