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북구 13명' 서울대 합격, 작년 2배…비수성구 일반고 약진

전학년도 대비 10명 늘어…학력 격차 진학 전략으로 극복

대구 비(非)수성구지역 일반고에서 서울대 합격자 배출이 늘어 학력 격차를 진학 전략으로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 중심인 대입 수시모집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학교 차원에서 대처를 잘하면 일반고가 서울대 진학에 불리하지 않다는 점을 입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매일신문 교육팀이 2016학년도와 2017학년도 서울대 수시'정시 합격자(최초 기준)를 고교별로 분석한 결과 2017학년도는 대구에서 45개 고교 156명이 합격, 지난해 46개 고교 146명에 비해 10명 증가했다. 2016학년도에 40명을 합격시킨 대구과학고가 올해 31명 합격시킨 것을 감안하면 일반고 성과는 더욱 두드러진다.

특히 서울대 합격자 수 증가는 비수성구 일반고의 약진에 힘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 2017학년도 대구 전체 합격자에서 전국 및 광역단위 모집 특목'자사고 8개 고교를 제외하고 구별 분포를 살펴보니, 북구는 올해 대구에서 가장 큰 성과를 거뒀다. 2016학년도 7명이었던 서울대 수시 합격자가 2017학년도엔 2배 가까이 증가한 13명이었고, 합격자 배출 학교 수도 9곳으로 1곳 늘었다. 중구, 동구, 남구의 일반고도 각각 1명 이상 합격자가 늘어났다. 포산고, 다사고 등 기숙형 공립고가 있는 달성군 지역은 올해 정시에서 전년보다 4명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는 등 5명이 늘었다.

수성구 일반고는 전년 대비 수시에서 3명이 줄고, 정시에서 4명이 늘었다. 합격자 수는 2016학년도 34명, 2017학년도 35명으로 비슷했지만 합격자 배출 학교 수는 11개교에서 9개교로 2곳 줄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수성구 학생들의 의대 선호 현상과 서울대 자연계 진학에 필요한 과학탐구Ⅱ과목 기피에 따른 지원자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서울대 간판'보다는 취업이 잘되는 수도권 상위권 학과 선호 현상이 뚜렷해진 것도 영향을 끼쳤다. 김기영 매일신문 교육문화센터 연구실장은 "최근까지 서울대 합격을 주도해 온 수성구 고교의 저조한 수시 입시 성적을 비수성구 일반고가 메우고 있다"면서 "특히 북구의 수시 대약진은 학력 격차를 진학 전략으로 극복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고 했다.

일반고에서 수시는 전체 구성원이 만드는 시스템의 산물이고, 학교 경쟁력을 보여주는 잣대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지역별로 학생부종합전형 준비는 비슷해지는 추세다. 그동안 실적을 내지 못하던 학교에서도 서울대 합격자 배출이 늘어나는 배경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박정곤 대구시교육청 중등교육과장은 "비수성구 학교의 입시 경쟁력이 높아진 것은 대구 교육의 균형 발전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입시제도 변화 방향이 공교육 정상화에 기초한 정성적, 다면적, 종합적 평가의 성격을 띠고 있고 이런 성과는 대구가 행복역량 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