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 보 방류량 늘이면 지하수 줄 듯"

정부 방류 한도 확대 결정에 환경단체 "녹조 해결엔 환영" 농업관정 효율성 저해 우려

정부가 녹조로 인한 수질 악화를 막고자 4대강 보 방류 한도를 확대하기로 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이번 결정을 환영하면서도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권역본부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2017년 댐-보-저수지 최적 연계운영 방안'을 심의'의결하면서 4대강 보 방류 한도 확대를 결정했다. 여름철에만 제한적으로 방류량을 늘렸지만, 앞으로는 연중 필요할 때마다 물을 흘려보낸다. 이에 따라 4대강 16개 보 수위는 1∼3m가량 낮아진다.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권역본부 관계자는 "유속이 빨라지면 녹조의 원인인 남조류가 증식할 시간도 없이 강물에 흘러가 녹조 개선에 시각적 효과도 있을 것"이라며 "녹조가 개선되면 수돗물 정수과정에 들어가는 약품이 줄어 청정수 공급에도 순기능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보 저수량 감소에 따른 주변 지하수위 감소는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지하수위가 낮아지면 관정을 얕게 박은 곳은 농업용수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 국토부 의견이다. 아울러 보에 설치된 소수력 발전의 경제성도 떨어진다. 지금도 소수력 발전기 상당수가 경제성이 떨어지는데 수위가 더 낮아지면 발전량도 줄게 된다. 또 보에 설치된 어도(물고기 길)의 기능이 사라질 수도 있다. 어도는 현재 관리수위보다 50㎝ 정도 낮게 설계돼 있는데, 수위가 지금보다 1∼3m 낮아지면 어도를 통한 물고기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는 정부의 이번 결정이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그동안 환경단체가 목소리를 높인 '4대강 수문을 열어야 한다'는 의견을 정부가 수긍한 점은 환영하지만 녹조, 지하수 문제 등을 아우를 수 있는 종합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