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별검사는 3일 70일간의 공식 수사 종료를 계기로 마련한 기자 간담회에서 "우병우, SK'롯데라든지 (의혹을) 밝혀서 특검으로서 최소한의 소임을 다했어야 했는데 그걸 못해 국민에게 참 죄송하다"고 밝혔다.
박 특검은 '최순실 게이트' 의혹 규명에 나서면서 박근혜 대통령을 등에 업고 이권 챙기기에 나선 최순실 씨의 행보 못지않게 한국 사회의 정경유착 구도에 주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순실 사건은 큰 두 고리가 있는데 하나는 (최순실이) 대통령을 팔아 국정농단을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경유착"이라며 "삼성이나 기업들의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 행위를 축소해서 보려는 사람들 많은데 저는 그렇게 안 봤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검 수사를 너무 거칠다고 혹평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정말 억울하다"며 "그런 말 안 들으려고 오히려 특별검사답게 수사하려 했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박 특검은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 가운데 삼성의 출연금만 뇌물로 우선 규정한 것과 관련해 검찰이 향후 특검이 낸 길을 따라오기를 기대한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그는 "재벌 사건은 이미 틀을 만들어 놓았다"며 "서울중앙지검과 의견 차이가 있지만, 재판 과정에서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특검은 수사의 최대 하이라이트로 여겨진 박 대통령 대면조사와 청와대 압수수색 무산에 강한 아쉬움을 남겼다.
그는 "결과적으로 그렇게 돼 버렸는데 저도 참 아쉽다"며 "녹음만 한다면 그것만 빼고 다 양보하겠다고 했는데 우리는 정말 조사해보려고 노력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예를 들어 민정수석실 압수수색에 성공했다면 대통령 기록물에 속한 것만 봐도 그걸 유추해 민정수석이 어떻게 직권남용을 했는지를 충분히 밝혀낼 수 있었을 텐데 그런 서류조차 하나도 확보를 못 했다"고 안타까워했다.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수사가 미완성인 채로 검찰에 넘어가게 된 데에도 깊은 아쉬움을 드러냈다. 박 특검은 "구속영장을 재청구했으면 100% 영장이 나왔을 것이지만 보완할 시간이 없어 못 했다"며 "검찰은 수사 대상 제한이 없어 수사를 잘할 것이고 안 할 수도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박 특검은 수사 이후 공소유지 과정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수사는 손을 뗐지만, 재판이 남았다"며 "앞으로 전개될 삼성 재판이나 블랙리스트 재판은 아마도 세계적으로도 관심을 두게 될 세기의 재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저희도 단단히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