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조화로운 신라불교

불교는 4세기 삼국시대 때 우리나라에 수용되었다. 발생지 인도 불교가 중국에 들어와 중국 문화와의 교섭 속에 중국식으로 정착된 불교였다. 서로 치열한 경쟁 속에 국가 발전을 거듭하던 삼국은 이전의 부족적 체제와는 다른 왕권 중심의 강력한 국가를 지향하고 있었다. 삼국은 높은 수준의 사상 체계를 갖추고 있던 불교를 국가 발전의 디딤돌로 삼고자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유독 신라에서는 불교의 수용이 늦었다. 그만큼 전통신앙의 위력이 컸기 때문이다. 6세기인 법흥왕 때가 되어서야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신라불교는 늦은 출발과는 다르게 빠르게 기반을 넓혀갔다.

처음에 승려들은 힘든 병을 치료하는 것과 같은 특이한 능력을 앞세워 불교를 펼쳤고 이런 일은 기존 전통신앙 담당자들이 하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었다. 아마도 아직 신라에 알려지지 않은 최신 기술을 알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또 절을 새로이 만드는 큰일에 전통신앙을 이끌던 성모가 도왔다는 설화는 불교가 이전 믿음을 포용하며 새 길을 열었던 사실을 말해준다. 한편으로 불교의 수용은 새로운 신라 문화 창조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불교가 얼마나 신라 왕실에서 큰 호응을 얻었는지 말해주는 사실이 왕의 이름을 불교에서 따다 쓴 것이다. 진평왕은 자신과 왕비의 이름을 석가모니의 부모 이름과 같이 하였다. 그의 딸인 선덕여왕의 이름 덕만은 부처의 이름 중 하나였고 조카인 진덕여왕의 이름 승만은 경전 주인공의 이름이었다. 신라 왕실과 부처를 동일하게 여기는 관념을 만들어 신라 왕실을 불교적으로 신성화하고자 한 것이다. 나아가 황룡사 구층탑은 신라가 이상적인 나라라는 부처의 땅 즉 불국토를 구현한다는 신라 불국토 관념을 나타낸 것이었다.

7세기에 불교는 사상적으로 크게 발전하여 신라다운 사상을 만들어냈다. 위대한 사상가 원효는 독자적이고 조화로운 불교사상을 제창하고 보통 사람들이 쉽게 알 수 있는 전도활동에 온몸을 바쳐 조화를 주조로 하는 한국불교의 지향을 열었다. 친구인 의상은 화엄을 열심히 공부하여 중국의 것에 뒤지지 않는 뛰어난 수준을 이루고 부석사와 같은 큰 절을 지어 많은 제자들과 신앙인들에게 이를 널리 전파하였다.

나무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은 이들 두 사람을 비롯한 이 시기 사상가들의 노력으로 보편화된 것이다. 관세음보살은 지금 살면서 생기는 온갖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존재이고 아미타불은 죽어서 고통받는 곳에 가지 않고 오직 즐거움만 있는 극락에 태어나도록 도와주는 부처이다. 이들은 신분, 나이, 성별에 상관없이 간절히 기도하는 이들의 바람을 들어준다. 이 세상과 다음 세상에서 안락을 보장받는 두 믿음이 이때부터 누구에게나 열린 것이다.

그러더니 신라 말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중앙에서 왕권 다툼에 나라가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게 되자 지금까지의 불교하고는 다른 선종이 새로 성행했다. 선종은 경전을 열심히 보거나 공덕을 닦거나 하는 것보다 자신의 마음을 바로 봄으로써 올바른 가르침을 직접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예전과 같이 왕실은 물론 지방에서 새롭게 성장하던 호족들도 선종에 큰 관심을 보여 절을 세우도록 지원했다.

이처럼 한국불교의 전모를 살펴볼 수 있는 신라불교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은 별로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완간된 신라사대계 30권에는 불교에 대한 내용이 두 책에 걸쳐 지금까지 가장 풍부한 내용으로 수록되었다. 그 밖에 자료집에는 많은 내용이 담겨 있다. 신라사대계가 일반인들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도록 풀어쓴 만큼 신라불교를 다양한 방면으로 이해하는 데 신라사대계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