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이 각본 없는 '끝장토론'으로 맞붙게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는 7일 오전 회의를 열고 이번대선 TV 토론회에 시간총량제 자유토론 및 스탠딩 토론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또 후보자 간 충분한 토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기조연설도 생략하기로 했다.
총 3회에 걸쳐 열리는 토론회 중 1차(정치분야)와 3차(사회분야) 토론회에서 이런 형식의 '스탠딩 끝장토론'이 실시된다.
시간총량제 자유토론이란 후보자별로 주어진 발언 시간의 총량 내에서 사회자의질문에 답변하고,다른 후보자들과 자유롭게 토론하는 방식이다.후보자 5인 기준 자유토론 발언 시간은 한 사람당 총 18분이다.
스탠딩 토론 방식은 토론회의 긴장감과 역동성을 살리고,후보자의 몸짓·자세 등도 함께 볼 수 있어 후보자의 다양한 역량을 검증하고 토론회에 대한 몰입감을 높인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다만 2차 토론회(경제 분야)는 1·3차 때와 달리 한 후보자의 정책발표 후 나머지 후보자와 1대1로 질문·답변하는 정책검증 토론 형식으로 진행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