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9일 대선을 앞두고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송 전 장관은 21일,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 표결 전 정부가 북한에 사전 문의를 한 정황을 담은 메모를 공개한데 대해 "문 후보(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직접 대답해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 논란은 노무현정부 시절인 2007년 11월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시 정부가 기권한 것을 둘러싼 공방으로, 송 전 장관은 회고록에서 "문 후보가 청와대 비서실장으로서 정부의 기권 결정을 내릴 때 국가정보원을 통해 북한의 반응을 알아보자는 태도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문 후보는 이에 대해 "북한에 직접 물어보자는 게 아니라 국정원의 해외정보망을 통해 북한의 반응을 판단해봤다는 것"이라는 취지로 반박했다.
하지만 송 전 장관은 21일 자신이 총장으로 있는 서울 삼청동 북한대학원대학교에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그것(자신이 공개한 메모)을 보고도 그렇게 이야기할 수 있는지 문 후보가 직접 대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 전 장관이 공개한 문건에는 "남측이 반(反)공화국 세력들의 인권결의안에 찬성하는 것은 북남 선언에 대한 공공연한 위반으로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등 북한의 입장이 들어 있다.
송 전 장관은 메모를 공개한 배경에 대해 "문재인 후보가 여러 계기에 방송 등에서 제 책이 근본적으로 오류다, 틀렸다, 혼자만의 기억이고 타인의 기억과 다르다는 등 사실에 입각하지 않은 것처럼 묘사했다"며 "책을 쓴 사람으로서 사실관계에 기초했다는 것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회고록이 정치 문제로 비화된데 대해서는 "보수니 진보니하는 색깔 문제나 종북 문제와 연결할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 다만 중요한 상황에서 국가의 일을 할 때 어떻게 판단하느냐 하는 문제와 사실관계를 호도하기 때문에 진실에 관한 문제"라고 언급했다. 그의 이런 발언은 결국 북한인권결의 표결 당시 정부의 대응과 그에 대한 진실 공방에서 드러난 문 후보의 판단력 및 진실성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송 전 장관은 남북간의 협의 내용이 공개되면 남북대화를 못하게 된다는 더불어민주당 측 주장에 대해 "남북대화라는 것은 남과 북이 양쪽에서 같은 손잡이를 잡고 해야 대화가 된다"며 "북한이 칼자루를 쥐고 우리는 칼끝을 쥐고서 하는 남북대화는 지속력 있는 대화가 안 된다"고 공격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