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발걸음이 가볍다. 집권 2주차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잘할 것'이란 응답이 87%에 달했다. '잘못할 것'이란 응답은 7%에 불과했다. 대선서 41%의 지지를 얻었던 불안과 우려를 상당 부분 털어냈다. 반쪽짜리 대통령이 될 줄 알았더니 온 국민의 기대를 안고 간다.
발걸음을 가볍게 한 것은 대통령 자신이다. 박수받을 일만 골라서 하고 있다. 그것도 속도전이다.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 수사를 맡았던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을 부산고검 차장검사로 좌천한 것은 절묘했다. 고등검사장급을 고검 차장검사로 발령 낸 것부터가 유례를 찾기 힘든 신의 한 수다. 일부 반발 움직임도 있다지만 검찰이 자초한 일이다. '풀은 바람이 불어야 눕는데, 바람이 불기도 전에 눕는다'던 검찰 아닌가. 최근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90%에 달하는 국민이 검찰 개혁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으니 검찰로서는 달리 할 말이 없다. 여론이 등을 돌리면 반발은 부질없다.
불통과 무능의 이미지로 덧칠된 전 대통령의 이미지를 벗어던지는 모습 역시 새롭다. 구내식당에서 배식판을 들고 줄을 선 대통령은 영락없는 보통 사람 문재인이다. 점심 식사 후 비서진과 테이크아웃 잔에 담긴 커피를 들고 정원을 거닐며 담소를 나누는 것은 신선하다. 경호상의 이유를 대며 구중궁궐에 갇혀 있어야만 하는 줄 알았던 대통령이 저렇게도 하는구나 싶을 정도다. 문 대통령은 "주요 사안은 직접 브리핑하고 퇴근길에 마주치는 시민과 소주 한잔 나누겠다"고 했다. 이러다가 퇴근길 선술집에 들러 소주잔을 마주하고 시민과 담소하는 대통령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인사도 술술 풀어나간다. 경제부총리 후보자로 대통령과 개인적 인연이 없는 인물을 지명했다. 역시 아무런 인연이 없는 비외시 출신의 여성을 외교부장관 후보자로 뽑았다. 청와대 정책실장엔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를 지원했던 장하성 교수를 지명했다. 탕평 인사 조짐이 확연하다. 박지원 국민의당 전 대표의 "깜짝깜짝 놀라게 잘한다"는 칭찬이 공치사가 아니다. 친문 패권주의 논란을 몰고 왔던 측근들이 잇달아 백의종군을 선언한 것도 그렇다. 측근 중 측근이라던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은 백의종군을 선언했고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아예 대통령 취임 당일 해외로 출국했다. '실세를 두지 않겠다'는 의지가 확고하다.
걱정도 있다. 이제 시작이란 점이다. 시작은 누구나 그랬다. 그래서 걱정이 가시지 않는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가는 곳마다 시민들이 함께 셀카를 찍자며 모여들던 시절이 있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집권 초 금융실명제 실시, 하나회 척결 등으로 지지율이 80%대까지 올랐다. 노무현 전 대통령 역시 한때 국정 수행을 잘할 것이란 전망이 문 대통령보다 많은 89.1%에 달했었다.
지지율이 치솟으면 정권은 오만해진다. 여론을 등에 업으면 무슨 일을 해도 괜찮을 것 같지만 정권이 오만해졌다고 생각하는 순간 여론은 차갑게 식는다. 역대 정권이 시작은 화려했지만 늘 끝이 안 좋았던 것은 반면교사로 삼을 일이다.
앞길은 문 대통령의 선택에 달렸다. 새 정부가 북한을 설득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는 다시 퍼주지 않거나, 북핵과 미사일을 용인하지 않는 한 환상이 될 것이다. 섣부른 개성공단 재개 시도는 국내적으로는 물론 대북 제재에 동참한 국제사회와의 충돌을 예고한다. 사드 배치 비준을 두고서는 여야가 입장을 바꿔 격돌할 것이다. 일자리 추경도 국회 동의를 얻지 못한다면 공염불이다. 첫 내각 인선은 청문회를 거쳐야 한다. 강성 노조와 진보단체는 더 큰 날개를 달고 보수 세력과 이념적으로 부딪칠 것이다.
대통령은 시작할 때가 아니라 퇴임 후에 평가를 받는다. 문 대통령은 이를 유념해야 한다. 시작은 좋다. 그렇다면 이제 끝이 좋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재인정부가 명분과 이념에서 벗어나 실용정부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