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환경 문제를 해결해 시민 삶의 질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담은 새 환경 비전을 공개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2일 오후 2시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DTC)에서 열리는 제22회 환경의날 기념식에서 이 같은 방침을 밝힐 예정이다.
새 환경 비전에 따르면 대구시는 시민이 안심하고 숨 쉴 수 있는 환경을 신속히 실현하는 데 힘쓸 계획이다. 미세먼지, 온실가스, 악취 등 각종 공해가 시민들의 건강과 생활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는 오는 2020년까지 예산 1조349억원을 들여 미세먼지를 2016년 대비 30% 줄이기로 했다. 당초 목표였던 20% 감축보다 더 강화한 것으로, 새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에 발을 맞춤으로써 목표를 빠르게 달성하겠다는 의도다. 또 하수 슬러지 건조 연료화 시설 구축과 성서소각장 신설을 2023년까지 완료하는 등 각종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자원 순환 체계로 바꿔 대기오염과 악취 발생을 차단한다. 악취로 몸살을 앓았던 대구염색산업단지도 환경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시민 휴식과 여가를 위한 도심 속 숲도 더욱 늘린다. 1996년부터 '푸른대구 가꾸기사업'의 일환으로 나무 3천465만 그루를 심어 기후변화 대응 모범도시라는 평가를 받아온 대구시는 2021년까지 7천757억원을 들여 나무 1천만 그루를 더 심을 방침이다. 같은 맥락에서 대구수목원 확장, 대구대공원'제2대구수목원'산림복지단지 조성 등 녹지공간 확충에도 나선다.
친수 환경 조성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대구시는 시민들의 생활 속 하천인 신천을 지속 가능한 생태하천으로 만들기 위해 사업비 1천660억원을 투입한다. 낙동강물을 끌어와 생태용량을 늘리고, 수변공원을 조성하며 신천 수질을 2025년까지 1급수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 밖에 국내 최대 맹꽁이 서식지인 달성습지와 대명유수지, 칠곡서리지는 374억원을 들여 명품 생태관광지로 가꾼다.
물 관리와 수질 개선 역량을 바탕으로 대구시는 800조원 규모인 세계 물산업 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또 물산업을 포함해 미래형자동차'사물인터넷(IoT)'첨단의료'청정에너지 등 5대 신성장산업도 성장동력 창출에 환경문제 해결의 의미까지 더해 추진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권 시장은 "환경 문제를 해결해 대구 시민 삶의 질을 높이면서 건강한 일자리도 만들겠다"며 "자연과 산업이 공존하는 길을 대구가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