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nk you for your service."
미국의 군인이 길거리에서 흔히 듣는 말이다. 시민들은 국가를 위해 봉사한 사람들을 마주치면 감사를 표한다. 그만큼 그들의 어깨도 무거워진다.
그렇다면 독립유공자부터 6'25 참전유공자, 천안함 생존자 등 국가를 위해 희생했던 이들의 현재 삶은 어떨까? 그들이 목숨 바쳐 지켰던 국가와 국민은 그들을 기억할까?
7년 전 천안함 피격사건의 생존 장병인 전준영 씨는 대전의 한 자동차 대리점에서 일한다. 큰 부상 없이 군 생활을 마쳤지만 46명의 동료를 잃었고, 외상은 없지만 사고 트라우마로 지금까지 정신적 고통을 호소한다. 같은 처지의 55명 중 대부분도 그와 같은 상황이다. 국가유공자 지정은커녕 치료비조차 자기 몫이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자조는 현실 속에서 증명됐다. 6'25 전쟁 유공자들은 사회의 냉대 속에 상처받으며 살았다. 흔들리지 않아야 할 국가보훈정책은 정치'사회적 상황에 따라 흔들리기 일쑤였고, 마땅히 존경받아야 할 보훈 대상자들이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빼앗긴 나라를 되찾고, 그 나라를 지키려고 자신을 희생한 사람들을 기억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6일 오후 10시 KBS1 TV에서 현충일 특집으로 방송되는 '시사기획 창-망각(忘却)'으로 확인해보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