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 조리원 등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나서기로 함으로써 학교 급식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15일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29일과 30일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비정규직 철폐 및 정규직 전환, 근속수당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불법 파견, 무기계약직 등 학교 비정규직은 비정규직 문제의 '종합 백화점'격"이라면서 "고용 환경은 여전히 불안하고 정규직과의 처우 차별도 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비정규직은 근속이 쌓일수록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가 심화한다. 근무 2년차부터 근속수당을 지급하고 일 년에 5만원씩 인상해야 한다"며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아울러 "무기계약직은 정규직이 아닌 무기한 비정규직"이라며 "정부의 공공기관비정규직 제로 정책에 무기계약직까지 포함해 비정규직을 완전히 철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교비정규직 노조에는 약 38만 명의 전체 급식 조리원, 교무 보조원, 돌봄 전담사, 특수교육보조원 중 약 5만 명이 조합원으로 가입돼 있다.
교육부는 노조와의 협상에 나섰지만 아직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듯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중인 사안이라 대외적으로 이야기하기 어렵다"며 "아이들의 학습권 보호를 위해 파업까지는 가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서울'제주 등 일부 지역에서 이틀간 파업을 벌이면서 200여개 공립 초'중'고교가 급식에 차질을 빚었다.
2014년에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정규직과의 차별 해소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가 전국 900여 개 학교가 아이들에게 급식을 제대로 해주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