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지리산에서자연에 적응 중인 반달가슴곰 두마리가 새끼 한 마리씩을 출산했다고 18일 밝혔다.
반달가슴곰 암컷 한 마리(KF-34)는 무인카메라로,다른 개체(RF-25)는 새끼 울음소리를 통해 출산한 사실이 각각 확인했다.
어미곰들은 교미기에 다른 수컷들과 함께 지내는 게 관찰됐으며,바위굴에서 동면하던 올해 1월 말 출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이 처음인 KF-34는 지리산에서 두 번째 3세대 출산 개체가 됐고,RF-25는 4번째 출산이다.
이로써 지리산국립공원에는 모두 47마리의 반달가슴곰이 살게 됐다.
소백산 여우 2마리도 새끼를 낳았다.
소백산에서 자연 적응 중인 여우 2마리(CF-61,CF-1617)는 새끼 5마리를 출산했다.
새끼들은 생후 약 40일 됐으며,몸길이 25cm,몸무게 약 1kg까지 자랐다.
어미 여우는 2015~2016년 중국에서 도입된 개체로 자연 방사 이후 적응장과 인근 지역을 돌아다니다 4월 말 출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우는 3~5월 사이 체중이 약 100g인 새끼 2~5마리 정도를 출산한다.
새끼는 출생한 지 2주가 지나면 눈을 뜨고 3주가 되면 걸을 수 있다.5주 후부터는 굴 밖에서 활동한다.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원장은 "개체 추가 방사 및 증식을 통해유전적 다양성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 원장은 "반달가슴곰의 서식지를 관통하는 샛길 이용 시 곰을 만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새끼를 동반한 어미곰을 만날 경우 위험하기 때문에 샛길 이용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