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는 탈원전 정책의 불똥이 김천혁신도시로 이전한 한국전력기술㈜(이하 한전기술)로 튀었다.
김천혁신도시에 이전한 한전기술은 지난 1분기 기준 1조2천억원의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가운데 80% 이상이 원자력 및 원자로 설계 관련 수주로 원전사업에 매출을 크게 의존하고 있어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계속 된다면 회사 운영에 큰 차질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기술은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중단할 경우, 2017년도 매출이 지난해보다 21.4% 줄어든 3천797억원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해 사내 분위기가 침체되고 사원들 사기도 저하되고 있다.
2007년 김천혁신도시로 이전한 한전기술은 혁신도시 내 13개 이전공공기관 중 가장 이전 규모가 크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지속될 경우 혁신도시 발전에도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라 탈원전시대의 새 먹거리를 찾아 한전기술과 김천시의 대응도 분주해지고 있다. 한전기술과 김천시가 주목하는 새로운 시장은 '원전 해체' 분야다. 정부가 가동 중인 원전을 정지시키고 해체하게 되면 오는 2030년까지 약 300조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박보생 김천시장은 지난 6월 8일 국토교통부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을 방문, 원전설계 기술을 갖고 있는 한전기술의 원전해체 전담기관 지정을 주장했다. 박 시장은 "한전기술의 위기는 김천시뿐만 아니라 김천혁신도시 발전에도 큰 위기"라며 "한전기술을 원전해체 전담기관으로 지정하는 등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력히 건의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