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정권 출범 후 처음으로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 계획을 승인했다고 AP통신이 지난 29일(현지시간) 전했다.
한 미국 관리는 국무부가 13억달러(약 1조4천865억원) 규모의 무기 판매를 승인했다고 말했다.
해당 무기는 조기경보레이더 관련 부품과 대(對)레이더 미사일, 어뢰, SM-2 미사일 부품 등 7개 품목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무부는 이 같은 사실을 미 의회에도 통보했다.
미 의회는 30일 이내에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대한 거부 여부를 밝힐 수 있다.
대만에 대한 미국의 무기 판매는 트럼프 정부 들어, 그리고 2015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중국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트럼프 정부가 중국을 견제하고, 또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결정을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을 제기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현재 아'태 지역에서 날로 영향력을 확대해 가는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북한 문제와 관련해선 중국의 협력을 구하면서도 대중 압박도 강화하는 모습이다.
미 함정의 기항지로 대만 항구를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상원 군사위원회는 지난 28일 미 해군 함정의 기항지로 대만 항구를 허용하는 내용의 '2018년 국방수권법(NDAA) 개정안'을 처리해 상원 전체회의로 넘겼다.
대만 남서부 항구 도시 '가오슝(高雄) 또는 다른 적합한 항구(suitable ports)'에 항공모함 등 미 함정의 입항을 승인하자는 것이다. 미 해군은 1979년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한 이후로 해군 함정을 대만에 정박한 적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법안에는 대만의 잠수함과 기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미 국방부가 기술을 지원하는 내용도 담겼다. 따라서 이 법안이 의회 문턱을 모두 통과한다면 미국의 40년 가까이 지켜온 '하나의 중국' 원칙을 되돌리는 의미가 될 수 있다고 WSJ은 해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