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구매 시에 단말기 지원금 대신 매월 통신비를 할인받는 '선택약정요금' 할인율이 20%에서 25%로 상향된 첫날인 15일, 25% 요금할인 약정으로 가입자가 대거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이통 3사에는 이날 25% 요금할인 신청 관련 문의가 몰렸다.
당장 이날부터 기존 가입자 대상으로 위약금 면제 제도를 시행한 SK텔레콤은 평소 대비 요금할인 문의가 두 배로 늘었고, KT도 50% 이상 증가했다.
SK텔레콤은 잔여 약정 기간이 6개월 이하인 기존 요금할인 가입자가 재약정을 하고 남은 약정 기간만큼 유지하면 위약금을 면제해주고 있다. 단말기를 바꾸지 않더라도 이통사에 신청하면 바로 적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와 KT는 전산 준비를 위해 10월 이후 시행할 예정이다.
이날 개통을 시작한 삼성전자의 하반기 전략폰 갤럭시노트8을 산 고객들은 90% 이상이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예약 가입이 시작된 LG전자 프리미엄폰 V30도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 신청 의사를 밝힌 고객이 90% 정도로 파악됐다.
신규 프리미엄폰의 일반적인 요금할인 가입률 70∼80%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25% 요금할인으로 지원금과 할인 격차가 늘어나면서 벌어진 현상이다.
25% 요금할인을 적용받으면 24개월 약정 기준 총요금할인액은 19만7천∼66만원에 달한다. 반면 갤노트8의 지원금은 유통점이 주는 15% 추가 지원금을 더해도 7만4천∼30만4천원에 불과하다. 요금할인액이 지원금의 2.2∼2.6배인 셈이다.
갤노트8 출고가(109만4천500원)가 전작 갤노트7보다 10만원 이상 올랐지만, 요금할인율 상향조정 덕택에 소비자 부담이 크게 늘지는 않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6만5천원대 데이터 요금 기준으로 갤노트7 출시 당시 단말기 대금과 요금할인을 반영한 월 할부액(24개월 기준)은 9만4천원이었으나, 갤노트8에서는 9만5천원으로 1천원밖에 오르지 않았다. 월 단말기 할부금 인상분 4천원을 요금할인 인상액 3천원이 상쇄해준 셈이다.
반면 단말기 가격이 너무 올라 기대보다 할인 혜택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반응도 있다.
한 소비자는 "제품 출시 전에 삼성전자 측에서 갤노트8의 출고가를 100만원 이하로 출시할 것처럼 말해 기대가 컸는데 실제로는 갤노트7의 98만원대보다도 출고가가 10만원 이상 올랐으니 약정할인율이 높아진 효과를 느끼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