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美 세컨더리 보이콧에 '몸 사리기'

내달 당대회 개최 영향 땐 시 주석 장악력 훼손 우려

미국의 초강력 공세에 중국이 몸을 사리고 있어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21일(현지시간) 북한의 금융망 봉쇄 차원에서 사실상 중국 금융기관을 겨냥해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하라는 내용을 담은 대북 독자 제재 행정명령 카드를 꺼내 든 가운데 중국은 정면 대응을 피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집권 2기를 알리는 제19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가 내달 18일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미중 관계 악화를 원하지 않는데다 트럼프 행정부의 서슬 퍼런 공세에 맞대응했다가 손해가 막심할 걸 예상하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당국은 19차 당대회가 미중 관계 악화로 인해 제대로 치러지지 못할 경우 시 주석의 국정 장악력이 훼손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미 행정부의 이번 행정명령은 중국 금융기관들에게 큰 타격이 될 초대형 조처라는 점에서 중국은 적절한 대응책을 찾으려고 전전긍긍하는 모양새다.

22일 베이징 외교가에 따르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 추가 제재 결의가 통과된 이후 중국 당국은 제재를 이행하면서도 북한 핵'미사일 도발 문제의 대화'협상 해결을 노력해왔으나,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거친 공세에 시달리고 있다.

미 행정부가 유엔 안보리의 제재 결의 이외에도 독자 제재를 모색해왔고,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입을 통해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등 모든 국가들의 금융기관 등을 제재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단적인 사례다.

그 이외에도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전날 중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한 것도 미국의 입김이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소식통은 "S&P 신용등급 강등 또한 중국 당국에 큰 충격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북 원유 금수'라는 목표가 중국과 러시아 때문에 달성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미국은 북한 전체 교역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이 철저한 대북 제재 이행에 나서야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보고, 금융분야에서 본격적인 대(對) 중국 압박에 나섰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