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그룹의 제주소주가 자사 유통망을 통해 신제품 '푸른밤' 소주를 판매 중이다. 금복주 등 지역 소주 제조사들은 대기업 소주 등장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국내 주류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은 지난달 계열사 제주소주를 통해 자사 첫 소주 제품인 '푸른밤' 2종(짧은밤, 알코올도수 16.9%'긴밤, 20.1%)을 내놨다. 제주소주는 신세계그룹이 지난해 12월 인수해 운영 중인 제주 주류 제조사다.
푸른밤 소주는 전국 170여 곳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이마트24, 이마트 에브리데이 등 신세계그룹 전체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제주 화산암반수를 활용해 제조했고 초정밀 여과과정을 거쳐 알코올 향과 끝맛을 깔끔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제주도 여행 경험이 있는 이들이 '한라산'(제조사 ㈜한라산소주) 소주를 그리워하듯, 신세계는 노래 '제주도의 푸른밤'을 떠올리게 하는 '푸른밤' 소주를 제주의 아이콘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제주소주는 지난달 씨스타 출신 소유가 리메이크한 '제주도의 푸른밤' 음원을 내놓는가 하면 소유를 광고모델로 한 포스터와 CF도 선보였다.
국내 소주 시장에 또 하나의 대기업 제품이 등장하자 전국의 지역 토착 주류업체들은 내심 불안감을 표하고 있다. 지난 2011년 진로가 하이트와 합병해 하이트진로로 거듭난 직후 소주 '참이슬'은 전국으로 세를 확장했다. 각 지역 토착 소주 업체가 타 지역 시장을 활발히 개척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그러나 하이트진로라는 대규모 기업의 마케팅 공세를 지방 주류 제조사가 따라잡기란 역부족이었다.
2015년 들어서는 롯데주류가 과일주 '순하리 처음처럼'을 내놓으며 전국 소주 시장을 뒤흔들었다. 과일주가 크게 유행하자 이듬해에는 탄산주까지 등장하는 등 쓰지 않은 소주 제품의 성공 가능성이 대두됐다. 토착 주류업체들도 유행에 동참한 결과 자몽에이슬'이슬톡톡(하이트진로), 순하리 유자맛(롯데주류), 순한참 청포도맛(금복주), 좋은데이 블루베리맛(무학) 등이 여전히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
뒤이어 나온 푸른밤 소주는 대형마트와 백화점, 편의점 등 전국적으로 최대 유통채널을 갖췄다는 점에서 지역 주류업계에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이마트는 해외 점포도 갖춰 수출 시장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마트에 따르면 제주소주는 지난달 18일 출시해 이달 17일까지 한 달간 대구 이마트 소주 판매량의 10.1%를 차지했을 만큼 급성장 중이다. 같은 기간 참소주와 참이슬 매출은 각각 3.3%, 6.8% 모두 감소했다. 푸른밤 소주가 아직까지는 가정용 제품 판매에 그치지만, 제주도의 정취를 앞세워 청년들에게 어필하다 보면 업소용 시장에서도 먹힐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복주 관계자는 "푸른밤 소주가 주력 시장인 업소용 수요까지 잡기에는 일정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분위기를 지켜보며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한중 정상회담 호혜적 협력관계 증진 공감대 이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