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경북도는 올해부터 도민 물 복지 실현을 위해 지방재정이 부족한 군을 대상으로 예산을 투입, 노후관 교체와 상수관망 최적화, 정수장 정비와 블록시스템 구축 등 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환경부 낙후지역 노후 상수도시설 개량을 위한 선도사업으로 진행되는 이 사업은 올해 의성'성주'울진군 등 3개 군에 154억원을 투입한다. 내년에는 영덕'예천'울릉군을 추가해 2022년까지 6개 군에 1천73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앞으로 사업 대상 시'군과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경북도는 지방재정에 큰 부담을 주는 상수도 사업을 선순환 구조로 바꾸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 끊임없이 건의했고, 그 덕분에 환경부 첫해 사업에서 전국 사업비의 20%에 해당하는 국비를 확보했다.
누수지역 공사를 먼저 시행하고 지역실정에 맞게 설계한 후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한다. 누수감지 시스템 설치와 관망정비, 블록시스템 구축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블록시스템은 2개 이상의 수도관망을 구축해 한 곳에서 누수가 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사업 시행의 효과는 지난 2010년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추진된 '강원권 5개 지자체 상수도 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에서 볼 수 있다. 당시 평균 유수율(상수도가 중간에 새지 않고 주민에게 도달하는 비율)이 42%에서 86%로 크게 상승해 지난 2015년 극심한 가뭄에도 제한급수가 필요없을 정도로 효과를 봤다.
경북도는 2022년까지 현대화 사업이 마무리되면 6개 군지역의 유수율이 평균 50~60%에서 80% 이상으로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연간 절감되는 수돗물 양은 690만여t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생산 원가 기준 연간 224억원을 절약하게 된다. 수돗물 1천만t은 인구 10만 명 규모 도시에 약 1년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김진현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낡은 상수도시설 정비가 시급해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예정"이라며 "내년에는 더 많은 지역이 추가로 선정돼 물 복지와 재정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