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영천시, 청도군은 운문댐 가뭄(본지 11월 29일 자 1'3면, 12월 1일 자 2면 보도) 극복을 위한 비상대책으로 수도관 긴급 누수탐사 및 복구에 나선다.
가뜩이나 물이 부족한 상황 속에 영천'청도지역 수돗물 유수율이 다른 지역보다 낮아 우선 새는 물을 잡는 것이 급선무라는 판단이다. 유수율은 수돗물을 생산'공급한 총수량 중 땅속으로 새는 수량을 제외하고 실제 요금수입으로 받아들여진 수량의 비율을 말한다. 유수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중간에 새는 물이 많다는 의미다.
K-water에 따르면 운문댐 유역 올해 강수량은 예년의 48%에 불과해 지난달 30일 기준 운문댐 저수율은 14.5%로 1996년 댐 준공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이다. 대구시와 경산시는 제한급수 사태를 막고자 금호강에서 물을 끌어오는 공사에 착수했지만, 영천시와 청도군은 다른 유역 물을 끌어올 수 없어 비상대책 마련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K-water가 사전 조사로 선정한 영천과 청도 지역 중 '유수율'이 낮고 수압이 높은 급수구역(영천시 화북면'신녕면'금호읍'대창면, 청도군 청도읍'화양읍)을 대상으로 4, 5일 집중 탐사를 할 계획이다. K-water 누수탐사 전문인력이 해당 구역 누수탐사를 시행해 의심 지점을 알리면 지방자치단체는 누수를 복구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환경부의 2015년 상수도 통계 기준에 따르면 영천시와 청도군 유수율은 60% 미만으로 경북지역 시'군 평균 유수율인 68.96%에 못 미친다. 이 때문에 K-water는 비상대책으로 누수를 복구하면 누수절감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 전국 23개 지자체 지방상수도를 운영 중인 K-water는 지자체가 운영할 때와 비교한 유수율이 지난해 기준 평균 23.3%포인트(p) 향상돼 손실 절감액은 2천658억원에 이른다. 경북지역에서도 예천'고령'봉화 지방상수도를 운영하며 지난해 기준 평균 27%p를 향상시켰다. 이 덕분에 올해 5월 K-water는 청송군과 지방상수도 운영관리 협약을 새로 맺기도 했다.
K-water 낙동강권역본부 관계자는 "지금은 1t의 물도 아쉬운 비상상황이다. 지역 내 누수탐사 전문인력을 총동원해 기술지원을 할 계획"이라며 "지자체 물 확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도록 힘을 쏟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