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불평등 문제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암 검진율과 사망률도 소득'교육 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의 2014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분석한 결과 5대암(유방암'자궁경부암'위암'대장암'간암) 검진율은 소득'교육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높았다.
소득 수준(상-중상-중-중하-하)별 검진율 격차가 뚜렷한 암은 위암이었다. 40세 이상의 검진율은 소득 '상'에서 65.3%로 가장 높았고, 소득 '하'에서 47.2%로 가장 낮아 18.1%포인트(p) 차이가 났다. 특히 남자 검진율은 '상'(66.1%)과 '하'(41.1%)의 차이가 25.0%p에 달했다.
간암도 격차가 컸다. 소득 '상'(36.9%)과 '하'(22.4%)의 차이는 14.5%p였고, 남자의 검진율은 '상'(45.3%)과 '하'(24.7%)의 차이가 20.6%p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별 검진율 격차가 눈에 띄는 암은 유방암으로, 40세 이상 인구에서 '전문대졸 이상'(69.5%)과 '초졸 이하'(56.3%)의 검진율 차이는 13.2%p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연일 한복' 김혜경 여사, 경주 산책하며 시민들과 '찰칵'
한중 정상회담 호혜적 협력관계 증진 공감대 이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