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中企에 자율주차 임시운행 허가…DGIST 연구원 창업 '소네트'

18개 기관 중 中企 허가는 처음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원이 창업한 스타트업이 중소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를 받았다.

국토부는 3일 자율주행차 관련 AI(인공지능) 전문 스타트업 ㈜소네트에 자율주행차 임시운행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2016년 2월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제를 도입, 허가 차량에 한해 실제 도로에서 자율차 시험운행이 가능하도록 보장하고 있다.

현재 현대차, 삼성전자, SK텔레콤, 서울대, 카이스트, 전자통신연구원 등 18개 기관의 자율차 44대가 임시운행 허가를 받고 실제 도로에서 시험운행 중이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은 없다.

소네트는 DGIST 소속 연구원이 지난해 10월 창업한 기업으로, 자율주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관련 교육·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소네트 자율주행차는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카메라로 인지한 이미지 영상을 처리하며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자체 개발한 차선 인식방식(알고리즘)을 활용해 자율주행을 돕는다.

소네트는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자유롭게 테스트할 수 있는 자율주행 표준 기반(플랫폼)을 제작하고, 자율주행을 가능케 하는 자율주행 키트(시스템 일체)를 개발할 계획이다.

손준우 소네트 대표이사는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기술이 소프트웨어, 센서 퓨전, 인공지능 등과 같은 IT 기술에 집중되면서 자율주행 관련 스타트업 기업을 완성차 기업이 인수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제 자율주행 기술은 더 이상 자동차 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라 다양한 기업이 경쟁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급속하게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