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수돗물 또 오염물질 검출, 취수원 이전엔 나 몰라라하는 정부

대구 수돗물 사태로 취수원 상류 이전 목소리 거세져
약속해놓고 뒷짐지는 총리·장관 "도대체 뭐했나?" 비난

대구시민들이 마시는 수돗물을 처리하는 낙동강 정수장에서 발암물질이 포함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돼 취수원 이전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번에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된 곳이 구미하수처리장으로 밝혀지면서 이보다 상류인 해평지역으로의 취수원 이전이 잦은 '식수 오염' 사태를 겪고 있는 대구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것이다.

22일 환경부에 따르면 최근 낙동강 수계에서 검출된 과불화화합물의 주요 배출지역은 구미하수처리구역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하수처리구역 내 폐수배출시설 전수조사를 통해 배출업체를 찾아냈으며, 원인이 된 원료 사용을 억제시킨 결과 구미하수처리장 과불화화합물 농도가 지난 5월 5.8㎍/L에서 지난 20일 0.092㎍/L로 뚝 떨어졌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과불화화합물은 낙동강뿐 아니라 한강`금강`영산강 등에서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지난달 29일 과불화화합물 3종을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신규 지정했다"며 "과불화합물을 아직 먹는 물 수질기준으로 설정한 나라는 없으며 권고기준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국내 검출량도 미량이어서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구시민들의 수돗물 불신과 불안감은 확산하고 있다. '이래서야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있나', '이번만큼은 참을 수 없다'며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적극 중재하겠다고 공언한데다 올해도 현 정부 집중관리 대상인 지속과제로 '대구-구미 취수원 이전'이 선정됐지만 1년이 지나도록 손을 놓고 있어 지역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해 9월과 10월 이 총리와 주무부처 김 장관이 각각 국회 대정부질문과 국정감사에서 적극적인 중재로 취수원 이전 갈등을 풀겠다고 약속해 기대했는데 지금까지 중재 노력은 없었다"며 "중앙정부가 적극적 중재를 통해 취수원 이전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풀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일각에선 대구시와 경상북도, 구미시의 지난 10년의 행보가 한심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 한 대학 교수는 "대구경북이 '한 뿌리', '이웃사촌'이라고 자랑하면서도 개별 사안에 부딪치면 매번 등을 돌리고 자신들이 유리한 것에만 손잡는 행태부터 반성해야 한다"며 "서로 머리를 맞대로 지역민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대구시는 22일 오후 시청에서 권영진 대구시장 주재로 지역 국회의원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당정회의'를 열고 대구 수돗물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구시는 ▷구미시, 경북도는 물론 중앙정부에 취수원 이전을 위한 설득 및 촉구 ▷대구 미래비전 2030위원회에 '맑은 물 TF' 별도 구성해 대안 마련 ▷원수`정수 단계 검사 화학물질 추가 검토 등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