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댓글조작 의혹 사건을 맡은 허익범 특별검사팀이 최장 90일간 이어지는 공식 수사에 27일 돌입했다.
이번 특검은 김경수 경남도지사 당선인 등 여권 핵심 관계자들을 수사 선상에 올릴 가능성이 커 추이가 주목된다.
특검팀은 이날 서울 강남역 인근 J빌딩에 차려진 특검 사무실을 개소했다. '조용한 출범'을 바라는 허 특검의 의사에 따라 현판식 등의 행사는 생략하고 특검보 등과의 아침 회의로 첫날을 시작했다.
파견검사 13명 중 지난 25일 마지막으로 확정된 이선혁 청주지검 부장검사 등 2명도 이날 합류했다. 팀 구성이 늦어지면서 수사 초반에는 기록 검토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지만, 발 빠르게 강제수사에 돌입할 가능성도 있다.
첫 강제수사 대상이 어디인지에 따라 특검이 바라보는 이번 사건의 성격이나 향후 수사 방향도 일부 윤곽이 드러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날 특검팀의 일거수일투족에는 큰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특검법은 특검 임명일로부터 최장 20일을 수사 준비에 쓸 수 있다고 규정한다. 이후 정식 수사는 최대 60일간 진행되며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30일을 한 차례 연장할 수 있다.
특검의 수사 대상은 ▷ '드루킹' 김동원(49) 씨 및 그가 이끈 경제적공진화모임(경공모)의 불법 여론조작 행위 ▷이에 연루된 범죄혐의자들의 불법 행위 ▷드루킹의 불법자금 관련 행위 ▷그 외 인지 사건이다. 이에 따라 허 특검은 첨단수사 경력자를 다수 충원했다.
특히 법조계에서는 특검 수사의 핵심이 드루킹의 댓글조작 행위에 김경수 당선인이 관여했는지, 실제로 관직 인선 문제 등을 여론조작 활동의 대가로 논의했는지 등을 투명하게 밝히는 데 있다고 본다.
김 당선인은 지난달 4일 경찰의 참고인 조사를 받았고, 별다른 쟁점 없이 경찰의 수사가 마무리됐다.
반면 18일 공개된 드루킹의 '옥중 편지'를 통해 김 당선인이 드루킹의 댓글 공작 시연을 참관한 뒤 암묵적 승인을 했다거나 드루킹 측에 센다이 총영사 자리를 제안했다는 등의 새로운 의혹이 불거졌다.
이후 6·13 지방선거 이후 재소환이 무산된 만큼 김 당선인에 대한 특검 조사는 피해갈 수 없는 수순이란 예상이 나온다.
드루킹에게 간담회 참석 사례비로 200만원을 받거나 드루킹에게 김 당선인을 이어줬다는 의심을 사는 송인배 청와대 정무비서관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 역시 특검에 주어진 숙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