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29일 문재인 정부가 경제·사회 분야에서 실험적·선심성 정책을 남발, 실정을 거듭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공세를 펼쳤다.
한국당은 20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을 기점으로 '정책 중심 정당', '민생 보수'로 탈바꿈하고, 6·13 지방선거 참패 이후 내홍에 휩싸인 당을 수습, 국민의 지지를 되찾아오겠다는 각오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조목조목 비판하고 대안을 함께 제시한다는 포부다. 김성태 대표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이 부여한 마지막 기회를 살려서 당의 혁신과 쇄신에 매진하는 동시에 정책 중심 정당으로서도 진용과 면모를 갖출 수 있도록 '투트랙' 방향으로 당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문재인 정부가 지난 1년간 남발한 숱한 선심성 정책과 실험적 정책 기조에 따라 누적되고 있는 사회적·정책적 정책실패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며 "소득주도성장을 비롯한 실험적인 경제정책과 불안정한 노동·일자리 사회정책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당은 우선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적극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문재인 정부가 이미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놓고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 데다 울진 신한울 3·4호기가 백지화될 경우 천문학적 매몰 비용이 예상되기 때문이라는 게 한국당 설명이다. 6개월간 처벌유예에도 혼란이 예상되는 법정 근로시간 단축 문제, 취약계층 노동자의 일자리만 감소시킨다는 비판이 나오는 최저임금 인상 문제, 통상임금 이슈 등도 함께 쟁점화할 방침이다.
당장 한국당은 '선심노동대응팀'(가칭)을 당내에 설치, 다음 주부터 가동하기로 했다.
또한 6·13 지방선거가 끝나자마자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산·울산·경남 광역단체장 당선인들이 가덕도 신공항을 재추진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 대해서도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 한국당은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시 PK(부산·경남)와 TK(대구·경북)의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