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돌 계단식 '산지가람' 형태 원형 그대로 보전…영주 부석사

천년의 숨결이 살아숨쉬는 곳, 화엄종찰

석양이 아름다운 절집, 부석사 석양. 영주시 제공
석양이 아름다운 절집, 부석사 석양. 영주시 제공
부석사 안양문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부석사 현판이 걸려 있다. 마경대 기자
부석사 안양문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부석사 현판이 걸려 있다. 마경대 기자
부석사 전체 전경
부석사 전체 전경
부석사 전경
부석사 전경
부석사 전경
부석사 전경

한국의 전통산사에 포함돼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부석사는 천년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화엄사상의 근본 도량이다.

영주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위치한 부석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676년 신라 문무왕 16년 2월에 의상(義湘)이 왕명을 받들어 창건한 화엄종의 중심 사찰이다.

사찰에는 국보 제17호인 무량수전 앞 석등과 국보 제45호인 소조여래좌상, 국보 제46호인 조사당벽화, 보물 제249호인 삼층석탑, 보물 제255호인 당간지주, 보물 제735호인 고려각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7호인 원융국사비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의상이 주석해 화엄사상을 닦고 수많은 제자를 길러낸 사찰이다.

고려시대 건축물로 현존하는 목조건축물의 시조 격인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1916년 해체'수리했고 1977년부터 1980년까지 전체 사역을 정비하면서 일주문과 천왕문, 승당 등을 새로 지었다.

1996년 초에 유물각을 개수, 유물전시각으로 꾸몄다.

무량수전 앞의 석등은 균형미에 장식미를 더해 뺄 것도 보탤 것도 없는 아름다운 석등이다.

절 초입에는 당간지주가 있고 무량수전 마당 동쪽에는 균형미를 갖춘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금창헌 영주시 문화예술과 문화재관리담당은 "부석사는 돌 계단식으로 조성된 산지가람의 대표적인 사찰이다"며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산지가람들은 유네스코가 주장하는 독특한 형태의 원형을 잘 보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