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문화엑스포 축소' 검토 배경은…이 지사 "해외 행사보다 내실"

"문화를 금전적 잣대로…" 우려에, 경북도 "다른 정책은 유지" 입장

경상북도의 최대 역점사업 중 하나인 경주세계문화엑스포(이하 경주엑스포)에 대해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축소 의사(본지 11일 자 1면 보도)를 밝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도지사는 10일 예산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경주엑스포 축소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날 이 도지사는 “경주엑스포를 해외에서 열 경우 300억원가량이 들었다. 투자한 만큼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 국내 행사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임 김관용 도지사의 역점 사업에 대해 축소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와 경주시 등이 자본금 104억원으로 설립한 문화엑스포는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외에서 모두 9차례(국내 6 해외 3) 경주엑스포를 했다. 2006년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2013년 터키 이스탄불, 2017년 베트남 호찌민에서 해외 엑스포를 했고 나머지 6회는 경주세계문화엑스포공원에서 행사를 열었다. 9차례 엑스포 행사에는 총 1천756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갔다.

1998년 1회 행사에 404억원, 2000년 2회 때 355억원이 들어가는 등 앙코르와트 엑스포(60억원)를 제외하고 행사 때마다 100억∼400억원 사업비를 투입했다.

반면 9차례 엑스포 수입금은 801억원으로 사업비 절반에도 못 미친다. 1회 때 210억원으로 수입이 가장 많았고 2회(138억원)와 3회(154억원) 때만 100억원대 수입을 올렸지만 나머지는 수입이 100억원을 밑돌았다. 앙코르와트 엑스포는 수입금이 2억원에 불과했고 100억원을 투입한 지난해 베트남 호찌민 엑스포도 16억원에 그쳤다.

김관용 전 도지사가 역점적으로 추진한 정책이어서 기존 정책들이 확 바뀌는 게 아닌가 하는 일부 우려의 목소리에 대해서도 ‘그렇지 않다’는 것이 경북도의 공식 입장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문화행사는 흑자를 내기 어렵고 돈으로 환산하기 어려운 경북과 경주, 한국문화 홍보 효과도 있다. 엑스포 축소 검토 외에는 전임 도지사의 정책을 바꾸는 것은 없다”고 했다.

‘엑스포 축소’ 검토는 ‘해외에서 돈을 쓰기 보다 해외에서 찾아오는 경북을 만들겠다’는 구상 중 하나라는 설명이다.

실제 이 도지사는 최근 민선 7기 도정 방향을 밝히는 자리에서 “베트남에 있는 삼성전자 공장 등 해외에 있는 경북 유관 기업 직원들만 해도 800만 명이 넘는다. 이들의 휴가와 교육을 유치해도 경북관광이 살아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당사자인 경주엑스포 관계자들은 착잡하다. 경북도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경주시도 비상이 걸려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엑스포 한 관계자는 “엑스포를 통해 한국과 경북, 경주를 홍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단순한 금전적인 잣대로만 봐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채수 기자 cslee@msnet.co.kr 모현철 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