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사강의 LIKE A MOVIE]

영화 ‘서치’

영화
영화 '서치'

*관련영화: #블레어위치프로젝트 #베리드 #파라노말액티버티 #마더

*태그라인 : "내 딸의 인생은 온라인에 있었다"

*줄거리: 목요일 저녁, 딸 마고에게 걸려온 부재중전화 3통, 아빠 데이빗은 그 후 연락이 닿지 않는 딸이 실종됐음을 알게된다. 경찰의 조사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만 결정적인 단서들이 나오지 않는 가운데, 실종된 날 밤 마고가 향하던 곳이 밝혀지며 새로운 사실들이 발견된다. 사건의 실마리를 찾은 곳은 다름 아닌 딸 마고의 노트북,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등 SNS에서 상상조차하지 못한 딸의 진실이 펼쳐진다.

영화
영화 '서치'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서만 영화 한 편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니!

우리는 일상부터 먼지묻은 추억의 자취, 각박하게 돌아가는 세상의 모습, 뭇 사람들의 사는 법, 반응까지 모니터 하나로만 소통할 수 있는 진기한 시대에 살고 있다. 영화 '서치'를 본 관객들은 물론 영화 관계자들은 적잖은 충격을 받고 극장을 나서게 된다. '서치'는 모든 장면을 모니터 화면으로만 구성한 과감한 발상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우선 들었을 때 아이디어 하나는 참신하다. 그러나 두시간을 넘는 영화로의 구현은 신박한 컨셉 하나로 끝나는 게 아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서치에서 보여준 새로운 영화 문법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영화
영화 '서치'

정말 독특하고 신박한 영화가 탄생했다. 영화는 PC 접속화면으로 시작한다. 오프닝 시퀀스는 애니메이션 '업'처럼 한 가족의 역사가 몽타쥬로 엮어 보여진다. 물론 이 시퀀스도 PC에 담겨있는 사진과 영상들로 구현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이 미국에 사는 한국계 가족으로 엄마는 암으로 죽고 아버지와 딸만 남았다는 것을 알게된다. 여기까지 그저 오프닝시퀀스라 그런 방식인 줄 알았다. 그런데 쭉 이어진다.

목요일 오후, 스터디 클럽을 다녀오겠다던 딸 마고는 심야에 페이스타임으로 부재 중 전화 3통을 남긴 채 집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딸의 신상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눈치챈 아빠 데이빗은 경찰에 도움을 청하고 마고를 행방의 단서를 찾기 위해 마고의 PC를 통해 사생활을 추적한다.

텀블러의 사진, 페이스북 포스팅, 메일 박스, 구글의 위치 추적 등 모두가 체크 대상이다. 이들이 사는 지역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다. 미국 굴지의 IT기업 본사가 거기 있다. IT 개발에 몸담고 있는 아버지라니 당연, 데이빗은 인터넷문화나 최신 커뮤니케이션 수단에 통달해 있을 것이다.

영화
영화 '서치'

본격적인 경찰 조사가 시작되고 유능한 실종 전담 형사 로즈마리(데브라 메싱 분)가 수사에 착공하고 데이빗도 딸의 행적을 찾기 위해 온라인을 뒤진다. 그러던 중 실마리를 찾아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이제까지 데이빗이 몰랐던 마고의 면면들을 보게 된다. 예상하지 못했던 딸의 속내와 이면, 실종의 진실에 가까워지자 데이빗은 더욱 혼란을 겪고 사건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한편 마고의 실종 소식은 지역 매체의 뜨거운 관심이 된다. 마고와 전혀 친분이 없다고 했던 학교 친구가 나타나 마고의 베프로서 눈물을 흘리는 리액션을 유튜브에 올리고 '좋아요'로 수익을 올리고 레딧에는 실종괴담이 올라가기도 한다. 모든 스토리가 전개되는 무대가 컴퓨터인만큼 미디어의 리액션을 보여주는 양상이 물 마시듯 자연스럽다.

아빠는 딸을 찾고자하는 집념으로 전문 형사의 추리를 뛰어넘는 탐사 능력을 보여준다. 독자적인 추리로 형사가 놓친 부분을 들춰내고 인터넷을 통하여 마침내 사건의 진실을 알아내게 된다.

영화
영화 '서치'

이 모든 과정은 PC 화면 상의 장면들로 이어진다. PC 화면 상의 핸드폰 통화, 인터넷 서치, CCTV회로, 폴더 안의 사진과 기록으로 말이다. 놀라운 것은 컴퓨터라는 도구가 상상이상으로 긴박감과 공포가 닥칠 것같은 섬칫함, 추억의 안온함 모두를 기가 막히게 잘 구현해낸다는 것이다. 귀에 익은 아이폰의 통화 연결음, 컴퓨터를 셧다운하기 전에 뜨는 경보 메시지, 우연히 발견한 바탕화면 상의 단서 등 컴퓨터는 우리의 삶 그 이상이고, 그것만으로도 영화는 충분했다.

1991년생, 젊은 감독 아니쉬 차간티는 구글 글래스로 만든 단편 영화로 이름을 알렸다. 자신의 장기를 파악하고는 영화에서 다뤄진 적 없는 새로운 포맷을 구현하는 데에 집중했다. 단 한 번도 영화 카메라가 직접적으로 인물들을 담지 않는 영화를 만들면 어떨까. 기존 영화 문법에는 없던 것이었지만 컴퓨터와 친숙한 우리들에게는 너무나 와닿고 몰입하기 쉬운 포맷이었다. 이렇게 탄생한 영화 '서치'는 아니쉬 차간티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영화 서사로만 보면 후반부의 사건이 진모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나 영화 자체는 지루할 틈 없이 긴박하게 흘러간다. 분명 '서치'는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새로운 영화 문법을 구현했고, 영화사에 남을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남을 것이다.

이사강 CF·뮤직비디오 감독

◆상류사회

나비 잠

학생들에게 인기와 존경을 동시에 받는 경제학 교수 '태준'(박해일)은 우연한 기회를 통해 촉망받는 정치 신인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게 된다. 한편 그의 아내이자 미래미술관의 부관장 수연(수애)은 재개관전을 통해 관장 자리에 오르려 한다. 그러나 수연의 미술품 거래와 태준의 선거 출마 뒤에 미래그룹과 민국당의 어두운 거래가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고 두 사람은 완벽한 상류사회 입성을 눈앞에 두고 위기에 처한다. 이 기회를 절대 놓칠 수 없는 태준과 수연 부부는 민국당과 미래그룹에게 새로운 거래를 제안하게 된다. 누구나 꿈꾸지만 아무나 갈 수 없는 곳, 모두가 궁금해하는 상류사회의 민낯을 그리는 영화.

◆나비잠

나비 잠

일본 소설에 매료돼 무작정 일본으로 유학 온 작가 지망생 '찬해'. 학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우연히 베스트셀러 작가 '료코'를 만나게 된다. '찬해'가 '료코'의 잃어버린 만년필을 찾아준 것을 계기로

반려견 톤보의 산책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며 조금씩 가까워지는 두 사람. 료코는 자신의 마지막 소설을 찬해와 함께 준비해가고, 소설이 완성되며 점점 커져가는 사랑을 깨닫게 된다. 일본 멜로 영화의 대표작인 '러브레터'의 여주인공이자 첫사랑의 아이콘 나카야마 미호와 드라마 '사랑의 온도'를 통해 섬세한 감정 연기로 차세대 멜로 장인에 등극한 배우 김재욱의 멜로 호흡 역시 영화에 대한 기대를 높인다.

◆딥

시나리오 작업을 위해 프리다이버들의 천국 필리핀 보홀로 향한 '희진'과 '승수'. 그곳에서 강사로 일하는 '시언'을 만난다. 보홀에 온 후부터 어딘가 수상한 희진의 태도에 의구심을 가진 승수. 승수는 작업을 위해 인터뷰를 하던 중 시언과 희진사이에 충격적인 비밀을 알게 된다. 희진역시 점점 자신의 본색을 드러낸다. 조성규 감독은 "프리다이빙 강습을 받다가 호기심을 갖기 시작했고 시나리오를 쓰게 되었다. 다이버분들이 바닷속으로 깊게 내려가면 갈수록 본인의 마음속으로 들어가는 느낌이라고 말을 했는데 저는 물속에서 고독, 외로움을 느꼈고 그걸 영화에 표현하고 싶었다."며 인간의 어두운 욕망과 이기적인 속성을 '딥'에 대한 은유로 담아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