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년 대장정 끝에 MLB 30개 구장서 모두 시구한 첫 '로봇손' 소녀

헤일리 도슨이 지난달 9일(현지시각) 탬파베이 레이스와 볼티모어 오리올스 경기에서 3D 프린터 기술로 제작한 특수 로봇손을 오른손에 낀 채 시구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헤일리 도슨이 지난달 9일(현지시각) 탬파베이 레이스와 볼티모어 오리올스 경기에서 3D 프린터 기술로 제작한 특수 로봇손을 오른손에 낀 채 시구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로봇손' 소녀 헤일리 도슨(8)의 대장정이 17일(한국시각) 3년 만에 막을 내렸다.

MLB닷컴에 따르면 도슨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의 에인절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과 시애틀 매리너스의 경기에 앞서 시구자로 나서 경기 시작을 알렸다. 이로써 도슨은 메이저리그 30개 구장에서 모두 시구한 최초의 야구팬이 됐다.

도슨은 손가락이 제대로 자라지 않는 선천성 희소 질환인 폴란드 증후군을 안고 태어났다. 가운데 세 손가락은 사실상 없으며 그나마 자란 엄지와 새끼손가락의 길이도 일반인보다 짧다. 그는 3D 프린터 기술로 제작한 특수 로봇손을 오른손에 낀다.

도슨은 2015년 8월 18일 아빠 그레그가 열렬히 응원하는 고향팀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홈구장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오리올 파크 앳 캠든 야즈에서 시구자로는 처음으로 마운드에 올랐다. 이후 빅리그 30개 구장을 돌며 시구하고 싶다던 도슨의 꿈이 인터넷매체 '블리처 리포트' 보도로 알려지자 나머지 구단도 도슨을 적극적으로 홈구장에 초청했다.

'로봇손 소녀'의 미국 본토 일주기는 장애에 굴하지 않는 불굴의 도전정신으로 큰 관심을 끌었다. 도슨 가족이 현재 사는 네바다주의 네바다대학 공과대학은 도슨이 공을 쉽게 잡고 던질 수 있도록 로봇손 개발을 주도했다. 또 도슨이 시구하는 구단의 로고와 색깔을 담은 다채로운 로봇손도 제공했다.

마지막 30번째 구장인 에인절 스타디움에선 '조막손' 투수로 빅리그에서 10년간 뛴 투수 짐 애벗이 도슨을 마운드로 안내했고, 에인절스의 슈퍼스타 마이크 트라우트가 도슨의 공을 받았다.

도슨은 시구 전 자신의 꿈이 완성된 것을 두고 "놀라워요"라고 표현했다. 한국계로 알려진 도슨의 엄마 용 도슨은 "여정이 끝나서 흥분되지만 한편으론 슬프기도 해 시원섭섭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