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불상' 원위치는 경주 이거사 or 경주 남산?…이거사라는 결정적 사료 나와


청와대 경내 대통령 관저 뒤편에 있는 석불좌상이 지난 4월 보물로 승격됐다. 지정 명칭은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이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청와대 경내 대통령 관저 뒤편에 있는 석불좌상이 지난 4월 보물로 승격됐다. 지정 명칭은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이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청와대 경내 '경주 방형대좌(方形臺座) 석불좌상'이 본래 경주 이거사(移車寺)터에 있었음을 알려주는 결정적인 근거가 나왔다. 해당 불상의 원래 위치를 두고 이거사터와 경주 남산을 주장하는 견해가 팽팽하게 맞서왔다.

고 이근직 경주대 교수의 부인 주진옥 신라문화유산연구원 보존관리팀장이 16일 연합뉴스에 제공한 일제강점기 자료 '신라사적고'(新羅寺蹟考)에 따르면 도지리(道只里) 이거사터 항목에 다이쇼(大正) 2년(1913) 중에 총독부로 불상을 이전했다는 항목이 있다.

이에 따르면 당시 경주 문화재 사정에 밝았으며, 해당 불상 반출에 직간접으로 관여한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 초대관장 모로가 히사오가 이거사터 석불좌상 이전 시기로 적시한 때와 청와대 불상이 옮겨진 시점이 일치한다. 또 현재 이거사터에 모로가가 묘사한 그대로 석탑 기단부와 옥개석 일부가 남아 있다는 점으로 미뤄 책에 기술된 내용은 사실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거사는 경주 시가지 동남쪽에 있는 절로,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성덕왕이 재위 35년(736)에 죽자 "시호를 성덕(聖德)이라 하고 이거사 남쪽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이 전한다.

청와대 불상이 본래 이거사에 있었음을 결정적으로 뒷받침하는 사료가 발견되면서 불상 이전과 이거사터 정비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경주 지역 시민단체는 하루빨리 청와대 불상을 고향인 경주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불교계는 불상의 역사적 가치가 조명되고 원위치에 대한 연구를 거쳐 신앙적 환경이 조성된 뒤에 옮겨도 늦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석굴암 본존볼을 닮아 '미남불'로도 불리는 청와대 불상은 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108㎝, 어깨너비 54.5㎝, 무릎 너비 86㎝로 풍만한 얼굴과 약간 치켜 올라간 듯한 눈이 특징이다.

당당하고 균형 잡힌 모습과 풍부한 양감이 인상적이며,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팔각형 대좌 대신 사각형 연화(蓮華)대좌가 있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1913년 서울 남산 총독관저에 갔다가 1939년 경복궁에 새 총독관저(현 청와대)가 세워지면서 다시 이전됐고, 서울시 유형문화재를 거쳐 지난 4월 보물 제1977호로 지정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