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경제 활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용 중대형매장이 비어가고 있고 빈집도 경기도 다음으로 많다. 장사가 안 되고 경북을 떠나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이 16일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전국 상업용빌딩 공실률 현황'에 따르면 경북의 올해 상반기 중 공실률은 18.4%로 전국 1위였다. 전국 평균인 10.7%의 2배에 가까웠다. (표 참조)
특히 경북의 중대형매장 공실률은 2017년 17.8%, 2018년 18.4%로 2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반대로 빈 상가가 가장 적은 곳은 제주(7.2%)와 서울(7.4%)이었다.
상업용 빌딩은 음식점, 슈퍼마켓, 옷가게 등 제1, 2종 근린생활시설로 구성된 3층 이상의 일반 건축물과 업무 시설인 6층 이상의 일반 건축물이다.
경북지역 오피스빌딩의 공실률도 같은 기간 18.1%로 전남-전북-대전-충북-울산에 이어 높았다.

박 의원은 "수도권보다 지방에 텅 빈 건물이 많은 것은 그만큼 지방경제가 더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지방에서 건물을 임대받아 음식점 등 각종 매장을 운영하는 상인, 자영업자 등이 더욱 힘들어질 것이다"고 우려했다.
빈집도 많았다.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126만4천707호의 빈집 가운데 12만6천480호가 경북에 있다. 인구 1천만명이 넘는 경기도(19만4천981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경북 다음으로 경남(12만548호), 전남(10만9천799호), 부산(9만4천737호) 순으로 많았다. '빈집'이란 지방자치단체장이 거주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한 날부터 1년 이상 아무도 거주 또는 사용하지 않는 주택(미분양 주택 제외)을 의미한다.
황 의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빈집은 안전사고나 범죄발생 우려가 매우 높다. 필요한 경우 철거 등 강력한 조치와 함께 지역수요에 맞춰 주차장, 공부방, 주말농장 등 마을 공동이용 시설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은 무허가 불법 건축물(증축, 개축, 신축 등)도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았다. 서울이 1만5천259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5천150건, 경북 2천434건, 충남 1천932건 순으로 많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