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백악관 "트럼프, 문 대통령과 G20서 정상회담 개최"

트럼프, 시진핑·푸틴·아베·메르켈 등과 양자 회담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30일~12월 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은 27일(현지시간) G20 정상회의와 관련한 백악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G20 정상회의 기간에 문 대통령을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G20 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해왔다.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교착 국면인 북미 비핵화 대화가 진전하게끔 중재 행보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더불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도 각각 양자 회담을 한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는 아베 총리가 함께하는 3자 정상회담 형식으로 만난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러시아, 일본, 독일, 아르헨티나와 양자회담을할 것이라고 밝혔고, 이어 브리핑에 나선 볼턴 보좌관은 한국, 터키, 인도와의 정상회담 계획을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시 주석과는 업무 만찬을 하고, 미·중 무역 분쟁 담판을 벌일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미·중의 '관세 전쟁' 이후 두 정상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샌더스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문이 "세계 지도자들과 관계를 강화하고 자유롭고 공정하며 호혜적인 무역을 바탕으로 한 세계 경제 체제를 발전시킬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은 또 사우디아라비아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피살사건의 배후로 거론되는 무하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볼턴 보좌관은 "현재 (트럼프 대통령) 일정이 넘칠 정도로 꽉 차 있다"고 말했으나, 샌더스 대변인은 "어떠한 대화도 배제했다고 말하진 않겠다"고 부연했다. AFP통신은 백악관이 "비공식 회담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2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군 장병들과 화상통화를 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24일 트럼프 행정부가 이민자의 망명신청 심사 기간에 미국이 아닌 멕시코에서 대기하도록 하는 정책에 대해 차기 멕시코 정권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2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군 장병들과 화상통화를 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24일 트럼프 행정부가 이민자의 망명신청 심사 기간에 미국이 아닌 멕시코에서 대기하도록 하는 정책에 대해 차기 멕시코 정권의 '지원'을 얻어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트위터를 통해 이를 확인했다. 이는 입국의 합법성과 무관하게 누구나 망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망명 신청 결과가 나올 때까지 미국에 체류하도록 하는 현행법과 배치돼 논란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