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라돈 침대' 사태가 벌어진 지 6개월이 지났지만 '생활 속 방사능' 공포가 숙지지 않고 있다. 침대 매트리스나 침구류, 생리대, 온수매트 등에서 방사성물질인 라돈이 끊임없이 검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지만 지난 8월 도입된 대구시의 라돈 측정기 대여 사업은 예산과 물량 부족으로 신청자 중 절반 가량은 아직 측정조차 해보지 못한 상황이다.
2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8월부터 지난달까지 라돈 측정기 대여 신청은 4천138건이 접수됐다. 이 가운데 측정기를 대여한 건수는 전체 신청건수의 56%(2천317건)에 그쳤다.
측정 결과 라돈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는 모두 114건으로,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한 라텍스 매트리스나 베개 등에서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여전히 신청자 10명 중 4명은 제대로 라돈 수치를 측정조차 해보지 못하고 있다. 현재 대구시와 8개 구·군이 보유한 라돈 측정기가 99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정확한 측정에 이틀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신청자 중 상당수는 내년에야 라돈측정기를 만져볼 수 있는 셈이다.
침대 매트리스에서 시작된 라돈 공포는 생활용품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다른 생활용품에서도 권고기준치인 200베크렐(QB/㎥)을 넘는 라돈이 검출되고 있어서다.
생리대와 베개, 온수매트 등 몸에 닿는 제품에서 라돈이 검출된 데 이어, 최근 부산과 전주, 수원 등에서는 주택 인테리어 자재인 대리석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측정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그러나 대구시는 "문제로 볼만한 신고가 없다"며 손을 놓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신고된 제품이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한 베개나 매트리스 등 라텍스 제품이었고, 생리대나 온수매트·공동주택 대리석에 관한 신고는 없었다"며 "대부분 원자력안전위원회 측의 조치를 받도록 안내했고, 따로 조사할 계획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최근 '생활 방사선 제품 안전 강화대책'을 내놓고 라돈이 나오는 모나자이트 등 천연 방사성 원료물질의 사용이나 수입을 금지키로 했다.
아울러 올해 말까지 생활방사선법 등 관련 법률을 개정해 생활 방사선 실태조사의 주체를 원자력안전기술원으로 일원할 방침이다.
※라돈(Rn) = 암석이나 흙에 포함된 우라늄과 토륨이 자연적으로 붕괴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방사성 물질. 호흡기로 유입되면 각종 암을 유발할 수 있지만 측정기 없이는 존재 여부조차 알 수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