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망자 10명 중 8명의 주요 사망 원인은 암,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등 만성질환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본부가 발간한 '2018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통계집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만성질환(비감염성질환)으로 인한 사망과 질병 부담이 이처럼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기준으로 만성질환은 전체 사망 원인의 80.8%를 차지했고, 손상은 10.0%, 감염성질환은 9.2%였다.
사망원인 상위 10위 중 7개도 만성질환이었다. 암이 27.8%를 차지했고, 심장질환(10.6%), 뇌혈관질환(8.3%), 당뇨병(3.5%), 만성하기도질환(2.5%), 간질환(2.4%), 고혈압성질환(1.9%) 순이었다.
특히 순환기계질환(심뇌혈관질환)과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은 전체 사망원인의 71%를 차지해 이들 질환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비교를 해보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가운데 8위, 뇌혈관질환 사망률은 13위 수준이다.
우리나라 회피가능사망률은 33.2%로 영국보다 9.6% 높았다. 회피가능사망률이란 전체 사망자 가운데 죽음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었던 사람의 비율을 말하는데, 한국은 영국보다 예방 분야에서 크게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고혈압과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등은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증이나 뇌졸중과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나, 치료율과 합병증 관리율 등이 여전히 낮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만 30세 이상의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 24.5%에서 2016년 29.1% 고콜레스테롤혈증도 같은 시기 10.7%에서 19.9%로 증가했다.
만성질환 진료비는 44조7천억원으로 국내 전체 진료비의 84.2%를 차지할 정도로 컸다. 노인인구 증가로 만성질환에 대한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통계집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